일자사 [一字師] 일자사 [一字師] '한 글자를 바로잡아 고쳐준 스승'이라는 뜻으로, 시문(詩文)의 한 글자를 고쳐 더욱 생동감이 느껴지고 훌륭한 문장이 되도록 깨우쳐준 스승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당(唐)나라 때의 시인 정곡(鄭谷)의 고사(故事) 등에서 유래되었다. 일자지사(一字之師)라고도 한다. 당나라..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5.21
12강. 文 形(4) 12강. 文 形(4) 1. 選擇形 1) 「與(其) + A , 不若(不如) + B」 의 경우 :與其生而無義, 固不如烹. 살아서 의롭지 못하느니 진실로 삶아 죽임을 당하는 것이 낫다. 2) 「與(其) + A , 孰若 + B」 의 경우 : 與其有譽於前, 孰若無毁於其後? 앞에서 칭찬하는 것이 뒤에서 비난하는 것만 하겠습니까? 3) 「與(其) + A , 寧..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5.13
11강. 文 形(3) 11. 문 형(3) 가정형, 억양형, 비교형, 한정형에 대해 공부한다. 1) 가정형 * 가정사 若, 如 ~ 則이 호응하는 경우 王若隱其無罪而就死地, 則牛羊何擇焉? ->왕께서 만약 그 소가 죄 없이 사지에 가는 것을 측은하게 여기신다면, 소와 양에 무슨 구별이 있겠습니까? * 가정형의 복합사 「使」와 「令」이 사..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5.10
管鮑之交 管鮑之交 독음 : 관포지교 단어 : 管 대롱 관/주관할 관 鮑 절인 물고기 포 之 갈 지 交 사귈 교 난이도 : 고등용, 상용, 중학용, 중학용 한자능력검정 4급, 2급, 준3급, 6급 (쓰기:3급, X, 1급, 5급) 풀이 : 옛날 중국(中國)의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처럼 친구(親舊) 사이가 다정(多情)함을 이르는 말, 친구(親..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5.03
10강. 文 形(2) 10강. 文 形(2) 1. 문형(2) 2. 본문해설 3. 연습문제 4. 고사성어 3. 反語形 말하는 사람이 어떤 사실에 대하여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어기를 강조하기 위해 의문형을 빌려 반문을 나타내는 구형. 1) 의문사를 사용하는 경우 百姓足, 君孰與不足? =>백성들이 풍족하면, 임금이 누구와 부족하게 지냈습니까? 2..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5.02
9강 文形(1) 9강 文形(1) 1. 문형(1) 2. 본문해설 3. 연습문제 4. 고사성어 1. 否定形 1) 不, 弗 : 의미상 일반적인 부정을 나타내는데, ‘不’는 동사와 형용사를 ‘弗’은 주로 자동사를 부정한다. 주어 + 不(부정부사) + 술어(동사, 형용사) + 목적어. 주어 + 弗(부정부사) + 술어(자동사). 仁者不憂, 知者不惑, 勇者不懼. 어..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4.23
8강 基本構造(3) 8강 基本構造(3) 안병국교수 1. 기본구조(3) - 문장의 종류 2. 본문해설 3. 연습문제 4. 고사성어 1. 기본구조(3) 1. 判斷文★★★ 1) 주어 + 술어(명사) + 也=>董狐, 古之良史也. 2) 주어 + 者 + 술어(명사) + 也=>南冥者, 天池也. 2. 描寫文 주어 + 술어(형용사)=>山氣日夕佳. 3. 敍述文 주어 + 술어(동사)=>鳶..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4.19
7강 基本構造(2) 7강 基本構造(2) 안병국교수 1. 기본구조(2) - 술목구조, 개사구조, 주술구조 2. 연습문제 3. 고사성어 1. 기본구조(2) - 술목구조, 개사구조, 주술구조 1. 述目構造 1) 주어 + 술어 + 목적어=> 管仲相桓公. 2) 주어 + 술어 + 목적어(술어 + 목적어, 주어 + 술어) => 滕文公問爲國. 3) 주어 + 목적어 + 술어. (1) 주..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4.19
6강 基本構造(1) 6강 1. 기본구조(1) - 연합구조와 편정구조 한문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어나 구 및 문장의 결합관계와 성분의 어법 관계에 기초가 되는 기본구조의 형태에 대하여 철저하게 이해해야 한다. <聯合構造> 興亡盛衰 연합구조 또는 병렬구조는 단어나 구가 2개 이상이 서로 대등하게 결합하..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4.07
5강/ 以文會友 5강/ 以文會友 學者는 不患才之不贍하고 而患志之不立이라 <中論> 德义之所成者는 智也요 明智之所求者는 学问也라 雖有至聖이나 不生而知하고 雖有至材라도 不生而能이라 <潛夫論> 善作者는 不必善成하고 善始者는 不必善終이라 <戰國策> 善學者는 假人之長하여 以補其短이라 故로 ..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9.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