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명강(公慈明剛) 정민의 世說新語 [278] 공자명강(公慈明剛) 입력 : 2014.09.03 05:57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명나라 설선(薛瑄·1389~1464)의 '종정명언(從政名言)'은 중국에서보다 일본 막부에서 더 인기가 높아 여러 차례 출간된 책이다. 경험에서 우러난 위정자의 마음가짐을 적은 짧은 경구로 이루어져.. ´˝˚³οο덕일& 정민 2014.09.09
체수유병(滯穗遺秉) [정민의 세설신어] [220] 체수유병(滯穗遺秉)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13.07.24 02:59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정조는 특이한 임금이었다. 경연(經筵)에서 신하의 강의를 듣지 않고 자신이 직접 강의를 했다. '시경'을 강의할 때 전후로 내준 숙제만 800문항이 넘었다. 큰 .. ´˝˚³οο덕일& 정민 2013.07.24
“지식 다스리면 뭐든 할 수 있어”… 수원 화성 30개월 만에 쌓아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5> 정보화시대 지식경영법 기사입력 2012-02-27 03:00:00 기사수정 2012-02-27 22:46:28 “지식 다스리면 뭐든 할 수 있어”… 수원 화성 30개월 만에 쌓아 정보가 차고 넘치는 시대, 일의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로드맵에 따라 과학적으로 작업한 다산의 지식.. ´˝˚³οο덕일& 정민 2012.02.28
[정민의 세설신어] [69] 소년등과(少年登科) [정민의 세설신어] [69] 소년등과(少年登科) 옛사람은 사람의 세 가지 불행을 이렇게 꼽았다. 첫째가 소년등과(少年登科)다. 너무 일찍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것이다. 이제 내려올 일만 남았는데 남은 날이 너무 길다. 소년등과가 나쁘다기보다, 너무 이른 성취로 학업을 폐하여 더 이상의 진취가 없게 .. ´˝˚³οο덕일& 정민 2010.08.28
제이오(第二吾) [정민의 세설신어] [58] 제이오(第二吾) 18세기 지식인들의 우정론은 자못 호들갑스럽다. 연암 박지원은 벗을 한집에 살지 않는 아내요, 피를 나누지 않은 형제라고 했다. 제이오(第二吾), 즉 제2의 나라고도 했다. 마테오 리치(15521610)는 예수회 신부로 1583년에 중국에 와서 1610년 북경에서 세상을 떴다. .. ´˝˚³οο덕일& 정민 2010.06.18
三緘 공자가 주나라로 가서 태조(太祖) 후직(后稷)의 사당에 들렀다. 섬돌 앞에 금인(金人)이 서 있었다. 그런데 그 입을 세 겹으로 봉해놓았다. 이상해서 살펴보니 그 등에 "옛날에 말을 삼간 사람"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한 번도 아니고 두 번도 아니고 세 번은 봉해야 말조심이 된다는 뜻이었을까? 유향(劉.. ´˝˚³οο덕일& 정민 2010.04.25
[19] 재석도(載石圖)와 박면교거(剝綿攪車) [정민의 세설신어] [19] 재석도(載石圖)와 박면교거(剝綿攪車)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9.03 22:57 / 수정 : 2009.09.08 19:01 중국에 사신 갔던 신위(申緯)가 돌아왔다. 휘장을 친 수레 하나가 따라왔다. 가족과 친지들은 입이 그만 귀에 걸렸다. 휘장을 걷자 온통 돌뿐이었다. 그 무거운 괴석.. ´˝˚³οο덕일& 정민 2009.09.23
[정민의 세설신어] [20] 중국판 동의보감 [정민의 세설신어] [20] 중국판 동의보감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9.10 22:18 / 수정 : 2009.09.10 23:30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중국에서 출판된 '동의보감(東醫寶鑑)' 이야기가 나온다. 25책으로 간행된 이 책은 판본이 몹시 아름다웠다. '동의보감'은 의서로서 콘텐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 ´˝˚³οο덕일& 정민 2009.09.13
[정민의 세설신어] [16] 칭찬 교육 [정민의 세설신어] [16] 칭찬 교육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8.13 23:05 시인 백광훈(白光勳·1537~1582)은 아내와 자식들을 고향에 두고 서울에서 혼자 자취생활을 했다. 그가 자식에게 보낸 편지 24통이 문집에 실려 있다. 편지 중에 특별히 내 눈길을 끈 것은 형남(亨南)과 진남(振南) 두 아들.. ´˝˚³οο덕일& 정민 2009.08.14
[정민의 세설신어] [15] 파초설(芭蕉說) [정민의 세설신어] [15] 파초설(芭蕉說) •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8.06 22:54 이태준의 수필집 《무서록》에 '파초'란 글이 있다. 여름날 서재에 누워 파초 잎에 후득이는 빗방울 소리를 들을 때 '가슴에 비가 뿌리되 옷은 젖지 않는 그 서늘함'을 아껴 파초를 가꾸노라고 썼다. 없는 살림에도 .. ´˝˚³οο덕일& 정민 200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