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社會的 동물 인간은 사회적 동물 물과 불은 氣는 있어도 생명이 없고, 풀과 나무는 생명은 있어도 知覺이 없고, 짐승은 지각은 있어도 社會規範이 없다. 사람은 氣도 있고, 知覺도 있고, 社會規範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天下에 가장 귀한 것이다. 力不若牛하며 走不若馬한데 而牛馬爲用은 何也오 ** 不若 : ~만 못..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2.20
백성을 위한 정치 2 백성을 위한 정치(2) 孟子對왈: "王 好戰하시니 請以戰喩하리이다. ** 以=> ~로써 풀이: 왕께서 전쟁을 좋아하시니 청컨대 전쟁으로 비유하겠습니다. 塡然鼓之하여 兵刃旣接이어든 棄甲曳兵而走하되 ** 塡然=> 북이 둥둥 울리는 소리 ** 兵刃=> 날카로운 무기 ** 棄甲曳兵=> 갑옷을 버리고 무기를 ..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2.18
백성을 위한 정치1-[論語] 백성을 위한 정치(1) 子貢이 問政한대 子曰 “足食하고 足兵하면 民信之矣니라.” ** 足: 수족/ 넉넉하다. 풀이: 자공이 정치를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양식을 풍족히 하고, 국방을 튼튼히 하면 백성들이 믿을 것이다. 子貢曰 : “必不得已而去면 於斯三者에 何先이니잇가?” 曰 : “去兵이라.” ..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2.15
高麗史 高麗史 王入百濟都城하여 令曰: “巨魁가 旣已納款하니 無犯我赤子하라.” ** 王: 태조 왕건 풀이: 왕이 백제 도성에 들어와서 “괴수가 이미 항복하였으니, 우리 백성들을 해치치마라!” 라고 명령하고 存問將士하고 量才任用하다. **존문: 살피며 안부를 물음. 위로하다. ** 量: 헤아리다. 풀이: 장수..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2.15
紙上談兵(지상담병) 지상담병 풀이: 종이 위서만 병법을 논하다. 종이 紙(지), 위 上(상), 이야기할 談(담), 군사, 무기兵(병) 실제의 일에는 밝지 못하면서 쓸데없는 탁상공론만 일삼는다는 뜻이다. 출전: <사기: (염파인상여열전)> 전국시대 때 秦(진)나라의 군사가 조나라를 쳐들어 왔다. 조 나라의 백전노장 염파는 성..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1.26
紙上談兵(지상담병) 지상담병 풀이: 종이 위에서만 병법을 논하다. 종이 紙(지), 위 上(상), 이야기할 談(담), 군사, 무기兵(병) 실제의 일에는 밝지 못하면서 쓸데없는 탁상공론만 일삼는다는 뜻이다. 출전: <사기: (염파인상여열전)> 전국시대 때 秦(진)나라의 군사가 조나라를 쳐들어 왔다. 조 나라의 백전노장 염파는 ..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1.26
切磋琢磨(절차탁마) 切磋琢磨(절차탁마) 2007/05/02 접시꽃 切(끊을 절), 磋(자를. 차), 琢(쫄 탁), 磨(문지를 마) 옥을 자르고 쪼아 오랜 시간 다듬어 보물을 만들 듯, 인격이나 학문을 갈고 닦음. 子貢曰 貧而無諂하며 富而無驕는 何如하니잇고. 자공왈 빈이무첨 부이무교 하여 (자공이 말하였다. "가난하여도 아첨하지 않으며 ..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1.16
[스크랩] 列傳/고구려 민중의 영웅 溫達 온달조 [삼국사기( 列(열) 傳 (전) )]/고구려 민중의 영웅 溫(온) 達 (달) “ 大 (대) 王 (왕) 常 (상) 語 (어) 하시되 ‘ 汝 (여) 必 (필) 爲 (위) 溫 (온) 達 (달) 之 (지) 婦 (부) 라.’ 今 (금) 何 (하) 故 (고) 로 改 (개) 前 (전) 言 (언) 乎 (호) 잇가? 大 (대) 王 (왕) : 평원왕 汝 (여) :너, 당신(2인칭 대명사) 爲 (위) :~..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1.15
[스크랩] 董狐之筆(동호지필) 董(바로잡을, 감독할 동), 狐(여우 호), 之(어조사 지), 筆(붓 필) 동호의 올바른 기록 동호는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이다. 권력에 굴하지 않고 올바르게 역사적 사건을 사실대로 기록했기 때문에 올바른 역사 기록을 "동호지필" 이라고 한다. 출전: 춘추좌씨전 춘추 시대, 진(晉)나라 영공(靈公)은 사치스..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0.28
渤海考(발해고) 서문 &#8258; 渤海考(발해고) 서문 유득공 ** 高麗不修渤海史하니 知高麗之不振也라 고려불수발해사 지고려지불진야라. * 高麗: 왕건이 신라 말에 분열된 한반도를 다시 통일하여 세운 왕조(918~1392) * 不修: 편찬하지 않다. 修는 ‘책 따위를 편찬하지 않다.’의 뜻 * 之: ~이/가.~은/는(주격을 나타냄.) * 不振:..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