塞翁之馬(새옹지마) 2007/07/11 div#articleContents font { line-height:1.4; } div#articleContents { line-height:1.4; word-wrap:break-word; } 塞翁之馬(새옹지마) 塞 :변방 새 翁 : 어르신네 옹 之 : 어조사 지 馬 : 말 마 **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어려움. 옛날 중국 북방의 요새(要塞) 근처에 점을 잘 치는 한 노옹(老翁)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이..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4
指鹿爲馬 (지록위마) 2007/07/09 指鹿爲馬 指鹿爲馬 : 胡亥曰 "誤也라. 謂鹿爲馬로다." 問左右한대 左右가 或默이요, 或言馬러라. 지록위마 호해왈 오야 위록위마 문좌우 좌우 혹묵 혹언마 - 사기(史記) 胡亥 : 진(秦)나라 시황제 후궁의 소생으로 태자 부소를 대신해서 황제의 자리에 오른 이세황제(二世皇帝) 좌우 : 임금 가까..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4
刻舟求劍(각주구검) div#articleContents font { line-height:1.4; } div#articleContents { line-height:1.4; word-wrap:break-word; } 2007/07/05 古事成語에 담긴 비유 刻舟求劍 : 楚人이 舟止에 自舟中所刻으로 入水求劍이라. 각주구검 초인 주지 자주중소각 입주구검 초나라 사람이 배가 멈추자 배 안에 새긴 곳으로부터 물에 들어가 칼을 찾았다. 刻舟..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4
伴食宰相(반식재상) div#articleContents font { line-height:1.4; } div#articleContents { line-height:1.4; word-wrap:break-word; } 2007/06/30 伴食宰相(반식재상) 伴 :짝 반, 食 :먹을 식, 宰 : 재상 재, 相 : 서로 상/ 도울 상 능력은 없으면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재상 곁에 모시고 밥을 먹는 재상이라는 뜻으로, 無爲徒食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4
긴 이야기, 짧은 成語 (1) 2007/06/13 긴 이야기, 짧은 成語 (1) 白眉: 馬氏五常에 白眉最良이라. 백미: 마씨오상 백미최량 마씨 다섯 형제중에, 흰 눈썹이 가장 어질다. '白眉' 는 오형제 중에 흰눈썹을 가진 마량이 가장 어질고 재능이 뛰어났기 때문에 '가장 뛰어나다.' 라는 의미를 지님. ** 群鷄一鶴 近墨者黑: 近朱者赤이요, 近..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3
爲己之學(위기지학) div#articleContents font { line-height:1.4; } div#articleContents { line-height:1.4; word-wrap:break-word; } 爲己之學(위기지학) 2007/06/08 爲己之學(위기지학): 자기를 위한 학문 爲人之學(위인지학): 남을 위한 학문, 곧 남에게 보이기 위해 하는 학문 玉不琢이면 不成器요 人不學이면 不知道라. 옥불탁 불성기 인불학 부지도 옥..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3
尾生之信(미생지신) 2007/06/05 尾生之信(미생지신) 尾(꼬리 미) 生(낳을 생) 之(어조사 지) 信(믿을 신) 풀이: 미생의 믿음 한번 약속을 하면 어떤 일이 있어도 그 약속을 굳게 지키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고지식하고 융통성을 말하기도 한다. 출전: 사기 <소진열전> 미생은 여자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했지만 약..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3
狐假虎威(호가호위) 2007/07/17 狐假虎威(호가호위) 狐假虎威 ※남의 권세를 빌려 허세를 부림 虎得狐할새, 狐曰 : "子無敢食我也라. 天帝使我로 長百獸하니, (子 : 이인칭 대명사) 호득호 호왈 : 자무감식아야 천제사아 장백수 (使我 : 여금) 호랑이가 여우를 잡았는데, 여우가 말했다. "너는 감히 나를 잡아먹을 수 없다. 하느..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2.12
泰山北斗/태산북두 泰山北斗/풀이: 태산과 북두칠성 泰: 클 태 山: 뫼 산 北: 북녘 북 斗: 말 두 한 분야의 정상에 서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을 ‘泰山北斗’ 또는 줄여서 ‘泰斗’라고 한다. 출전: 당서[한유전<韓愈傳>] 한유(韓愈)는 당나라 때의 문장가로 이른바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의 첫머리에 ..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8.01.02
豹變(표변) 豹變 豹: 표범 표, 變: 변할 변 /표범으로 변한다. 다정하게 굴다가 갑자기 안색을 바꾸어 사납게 굴 때 ‘표변한다’ 고 말한다. 하지만 표범의 무늬가 가을이 되면 아름다워지는 것처럼 허물을 고쳐 말과 행동이 뚜렷이 달라진다라는 뜻도 담고 있다. 출전: 역경 [주역]혁괘(革卦)의 효사(爻辭)에 나오.. ´˝˚³οο ı Łονё 漢文 2007.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