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 ı Łονё 漢文

인간은 社會的 동물

수로보니게 여인 2007. 12. 20. 16:35

 

 

             

 

 

     인간은 사회적 동물

물과 불은 氣는 있어도 생명이 없고, 풀과 나무는 생명은 있어도 知覺이 없고, 짐승은 지각은 있어도 社會規範이 없다. 

 사람은 氣도 있고, 知覺도 있고, 社會規範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天下에 가장 귀한 것이다.

 

  不若牛하며 走不若馬한데 而牛馬爲用은 何也오 

** 不若 : ~만 못하다(A는 B만 못하다).

** 爲用 : 부림을 받다. 爲(人所)用(피동형) => 爲 A 所 B : A 에게 B하는 바 되다(당하다)

- 힘은 소보다 못하며 달리기는 말보다 못한데도 소와 말이 (사람에게) 부림을 받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群하나 不能也라."  **能 : ~할 수 있다. **彼 : 저들(소와 말). **群 : 무리 짓다.

- 사람은 사회를 이룰 수 있지만 저들은 사회를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何以能群고? 曰 : "分" 이라. 分何以能行고? 曰 : "義" 라. 

  ** 何以: 무엇으로써,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 分: 분별(上下, 長幼, 직업 등의 구분, 즉 질서) 

 ** 義: 올바름, 정의, 사회적 질서 유지의 근간이 되는 규범.

  - 사람은 무엇으로써(어떻게) 사회를 이룰 수 있는가?  '질서' 가 있기 때문이다.

질서는 어떻게 행해질 수 있는가? '사회 규범' 이 있기 때문이다.

 

故로 義以分和하고 和一하며 多力하고 多力强하며 强則勝이라. 

  ** 則 : ~하면 이다. ** 一 : 하나가 됨.   ** 物 : 자신을 제외한 외부의 모든 것.  

      (인간을 중심으로 말한 것이기에 인간을 제외한 모든 것, 즉 자연.)

- 그러므로 사회 규범으로 질서를 세우면 조화를 이루고, 조화를 이루면(사회 전체가) 하나로 통합되며,

하나로 통합되면 힘이 많아지고, 힘이 많아지면 강해지며, 강해지면 자연을 이기게 된다. 

 

故로 宮室可得居也라.  

** 宮室 : 집(동물과는 다른 자연을 이용한 인간만의 문화).  

**  而 : ~해서(순접).   ** 可 : ~할 수 있다.

- 그러므로 집을 얻어서(마련해서) 살 수 있다.

 

 

故로 四時에 裁萬物하여 兼利天下는 無他故焉이요, 得之分義也니라.  

** 序 : 따르다.  ** 他故 : 다른 이유, 故는 '이유, 까닭'.   **分義 : 규범에 맞는 질서.

- 그러므로 네 계절에 따라 자연을 알맞게 조절하여 온 세상을 함께 이롭게 하는 것은 다른 이유가 아니고

'규범에 맞는 질서(分義)'를 얻었기 때문이다.


荀子는 인간이 사회를 떠나서 혼자서 살 수 없다고 했다. 인간은 삶에 필요한 모든 것을 혼자서

감당할 수 없고, 또 다른 동물보다 나약한 존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를 이루고 산다고 할지라도 화합하지 못하면 소용이 없고,

조화로운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개인의 끝없는 욕망을 다스리는 노력을 강조하면서,

그 수단으로 '예(禮)' 가 있을 때 사회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순자(荀子)의 생애와 성악설

 

중국 전국 시대 말기의 사상가로 성은 순(荀)이고 이름은 황(況)으로 조(趙)나라 출신이다.

순경(荀卿) 손경자(孫卿子) 등으로 존칭된다. 생몰 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순자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에 반대하여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감성적인 욕망에 주목하여, 그것을 방임해 두면 사회적인 혼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악'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수양은 사람에게 잠재해 있는 것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가르침이나 예의에 의하여

후천적으로 쌓아올려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그가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했던 사회상과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인의와 예절이 땅에 떨어지고 사람들이 서로 다투면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에 급급했던 시대에 대해 순자가 내놓은 해결

책은, 사람들이 자신의 성품과 행동거지를 바로잡도록 끊임었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사상은 백성을 정치적 권력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규제하려고 한 이사(李斯), 한비자(韓非子) 등 법가에 계승되었으나

유가의 정통 사상으로는 성선설(性善說)에 압도되었다.

===============================================================================================

 

        러브 愛

                                  

                                                  

안녕하세요♥오신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남녀 

 

 
   
 첨부이미지첨부이미지
 
 
 

           

 
 

'´˝˚³οο ı Łονё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泰山北斗/태산북두  (0) 2008.01.02
豹變(표변)  (0) 2007.12.25
백성을 위한 정치 2  (0) 2007.12.18
백성을 위한 정치1-[論語]  (0) 2007.12.15
高麗史  (0) 2007.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