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말 고운 말 / “뜻이 어색한 한자어 표현” 바른 말 고운 말 “뜻이 어색한 한자어 표현” 얼핏 보면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는 국어 문장도 자세히 살펴보면 한자어 때문에 뜻이 어색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들 국어 문장도 한자어를 정확히 몰라서 저지르는 잘못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한자어 표현: 집무를 보다, 난이도가 높다. .. ´˝˚³οο국어 바루기 2008.07.11
바른 말 고운 말 (“특별한 나이를 가리키는 말” ) 바른 말 고운 말 “특별한 나이를 가리키는 말” 말이나 글의 사용 목적은 생각이나 느낌을 상대방에게 바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있습니다. 듣는 이와 읽는 이가 쉽고 바르게 듣고 읽을 수 있도록 말하고 쓰면 됩니다. 그러나 언어생활을 바르고 충실하게 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격식에 맞고 도리.. ´˝˚³οο국어 바루기 2008.06.23
바른 말 고운 말(‘아니오’ 와 ‘아니요’) ‘아니오’ 와 ‘아니요’ ‘아니오’와 아니요‘가운데 하나는 맞고 하나는 틀렸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아니오‘를 써야할 때가 따로 있고,’아니요‘를 써야 할 때가 따로 있습니다. 먼저 ’아니오‘는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아니다(형용사)의 활용형으로 아래 예시와 같.. ´˝˚³οο국어 바루기 2008.06.06
바른말 고운 말(숟가락과 젓가락) Happy Spring 바른말 고운 말 숟가락과 젓가락 우리나라 사람들은 매일같이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여 밥을 먹습니다. 그런데 이 도구의 이름에는 모두 ‘-가락’이 붙어 있는데 앞말이 하나는 ‘숟-’이고, 다른 하나는 ‘젓-’으로 되어있습니다. 받침에 왜 ‘ㄷ(숟)’과 ‘ㅅ(젓)’으로 달리.. ´˝˚³οο국어 바루기 2008.03.28
바른말 고운 말/ 쓰레기 분리수거(?) Happy Spring 바른말 고운 말 쓰레기 분리수거(?) 우리나라 사람들은 국어사전을 찾아보지 않거나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는 언어생활을 하고 있는 듯합니다. 한 번만 국어사전을 찾아본다면 정확한 우리말 표현이 무엇인지 금방 알 수 있을 텐데 대충 넘어가거나, 설령 알고 있다고 해도 자기중심의 언어생.. ´˝˚³οο국어 바루기 2008.03.12
'안'의 쓰임~ div#articleContents font { line-height:1.4; } div#articleContents { line-height:1.4; word-wrap:break-word; } 2008.01.21 ‘안’의 쓰임 ‘안’과 ‘아니’‘안’은 ‘아니’의 준말이지만, 쓰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①‘안’은 감탄사로 쓰이지 않는다. ②형용사 앞에 잘 쓰이지 않는 점은 ‘아니’와 같다. ¶ *안 아름답다.→.. ´˝˚³οο국어 바루기 2008.01.28
용비어천가~어림수,안개의 종류 2008.01.13 곡명(曲名)으로서의 ‘용비어천가’ 봉래의(鳳來儀) 용비어천가를 관현악으로 꾸민 방대한 춤곡 또는 궁중무. 전주곡과 여민락­치화평­취풍형, 그리고 후주곡으로 짜여져 있음. 여민락(與民樂) 용비어천가 1~4장과 125장을 연주하는 곡명. 치화평(致和平) 용비어천가의 1~16장과 125장을 연.. ´˝˚³οο국어 바루기 2008.01.23
접미사~전통 우비의 종류 2008.01.01 접미사 ‘-적(的)’의 쓰임 고유어와는 어울리지 않고 한자어에만 붙어 쓰인다. ¶ 인간적(*사람적). 한자어라도 ‘-스럽다’가 붙는 말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 만족스럽다(*만족적)./양심스럽다(양심적). 구체적 대상을 지시하는 말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 *군인(軍人)적./*활자(活字)적. .. ´˝˚³οο국어 바루기 2008.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