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1.01
접미사 ‘-적(的)’의 쓰임
고유어와는 어울리지 않고 한자어에만 붙어 쓰인다. ¶ 인간적(*사람적).
한자어라도 ‘-스럽다’가 붙는 말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 만족스럽다(*만족적)./양심스럽다(양심적).
구체적 대상을 지시하는 말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 *군인(軍人)적./*활자(活字)적.
부정어가 될 때는 ‘비(非)’와 어울리고 ‘미(未)’나 ‘무(無)’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 비인간적(*미인간적/*무인간적). ¶ 비양심적(*미양심적/*무양심적).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품사를 달리 한다. ①명사:서술격 조사 ‘이다’나 부사격 조사 ‘으로’와 함께 쓰인다. ¶ 성격이 적극적이다./적극적으로 참여하다. ②관형사:조사 없이 다음에 오는 체언을 꾸민다. ¶ 과학적 방법./민족적 특성./절대적 우위. ③부사:뒤에 오는 용언이나 부사를 한정하는 뜻을 나타낸다. ¶ 비교적 많다./가급적 일찍 오너라.
2008.01.02/장마의 종류 가을장마 ;;;;가을에 여러 날 줄곧 내리는 장마. 건들장마 ;;;;초가을에 비가 오다 말다 하는 장마. 늦장마 ;;;;;;;제철이 지나서 지는 장마. 마른장마 ;;;;비가 거의 오지 않아서 강우량이 아주 적거나 또는 맑은 날이 계속되는 장마. 석달장마 ;;;;여러 날 계속하여 내리는 장마. 억수장마 ;;;;여러 날을 두고 억수로 내리는 장마. 2008.01.03/잠의 종류 어떤 대상물과 비교하여 붙인 이름 개잠, 나비잠, 등걸잠, 말뚝잠, 새우잠, 토끼잠 1의 어의(語意)에 따라 붙인 이름 개잠(改), 귀잠, 꾀잠, 낮잠, 늦잠, 단잠, 두벌잠, 새벽잠, 선잠, 수잠, 발칫잠, 밤잠, 아침잠, 여윈잠, 이승잠, 일잠, 초저녁잠, 풋잠, 한뎃잠, 한잠, 헛잠
2008.01.04/이음표의 갈래와 쓰임 줄표(―)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낸다. ①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에 대해 부연하는 말이 끼어들 때. ¶ 그 신동은 네 살에―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를 나이에―벌써 시를 지었다. ②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 ¶ 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었다.
붙임표(-) ①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 겨울-나그네./불-구경./-ㄹ걸. ②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 ¶ 나일론-실./다-장조./빛-에너지./염화-칼슘. 물결표(~) ①‘내지’라는 뜻으로 쓴다. ¶ 9월 15일~25일. ②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에 쓴다. ¶ 새마을:~운동, ~노래. -가(家):음악~, 조각~. 2008.01.05/‘이름’의 높임말 방명(芳名) 방함(芳銜) 성함(姓銜) 존명(尊名) 존함(尊銜) 함자(銜字) 휘(諱) 휘자(諱字) ‘휘(諱)’는 죽은 사람의 이름을 높이는 말로서 이를 ‘휘자(諱字)’라고도 한다. 특히 ‘휘자’는 죽은 이의 이름 글자를 일일이 말할 때 쓴다. 어른의 이름자[함자나 휘자]를 일컫는 법 ¶ 네 조부 휘자는 ‘병(炳) 자 수(守) 자’ 쓰셨단다.(돌아가신 할아버지 이름은 ‘炳守’였다는 뜻) /저희 성(姓)은 김가이고, 아버님 함자는 ‘경사 경(慶) 자, 심을 식(植) 자’ 쓰십니다.(남 앞에서 자기네 성은 낮추어 말한다.) 2008.01.06/음력의 날과 달의 일컬음 날 : 초하루(1일) ;;;;;;;;;초이틀(2일) ;;;;;;;초사흘(3일) ;;;;;;;;초나흘(4일) 초닷새(5일) ;;;;;;;;;초엿새(6일) ;;;;;;;초이레(7일) ;;;;;;;;초여드레(8일) 초아흐레(9일) ;;;;;;열흘(10일) ;;;;;;;;열하루(11일) ;;;;;;;열이틀(12일) 열사흘(13일) ;;;;;;;열나흘(14일) ;;;;;보름(15일) ;;;;;;;;;;열엿새(16일) 열이레(17일) ;;;;;;;열여드레(18일) ;;열아흐레(19일) ;;;스무날(20일) 스무하루(21일) ;;;;스무이틀(22일) ;;스무사흘(23일) ;;;스무나흘(24일) 스무닷새(25일) ;;;;스무엿새(26일) ;;스무이레(27일) ;;;스무여드레(28일) 스무아흐레(29일) ;그믐(그달의 마지막 날. 따라서, 28일이나 29일이 ‘그믐’이 될 수도 있음.) ¶ 이달은 스무여드렛날이 그믐일세. 달 : 정월(1월), 동짓달(11월), 섣달(12월) 그 외의 달은 양력과 같음. 2008.01.07/육하원칙 영어의 5W 1H(Who, When, What, Where, Why, How)에서 비롯된 말. 언제(When:사건이 있었던 때) 지난 3월 6일, 어디서(Where:사건의 장소) 용인(龍仁) 상공에서 무엇을(What:사건의 내용) 헬리콥터의 추락 사고로, 누가(Who:사건에 관여된 사람) 공군 참모 총장 내외를 포함한 장병 4명 등 6명이 어떻게(How:사건의 결과) 순직했다. 왜(Why:사건의 원인) 추락 원인은 현재 규명 중이다. 2008.01.08 육십갑자(六十甲子)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결합하여 이르는 ‘간지(干支)’를 흔히 ‘육십갑자’라고 한다. 천간(=십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십이지) 자(子:쥐) ;;;;;;;축(丑:소) ;;;;;;;;인(寅:범) ;;;;;;;;;묘(卯:토끼) 진(辰:용) ;;;;;;;사(巳:뱀) ;;;;;;;;오(午:말) ;;;;;;;;;미(未:양, 염소) 신(申:원숭이) ;유(酉:닭) ;;;;;;;;술(戌:소) ;;;;;;;;;해(亥:돼지) ※( ) 속의 동물은 띠를 나타냄. 육십갑자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2008.01.09/육례(六禮)와 그 순서 ①납채(納采):남자 집안에서 중매인을 통하여 청혼하면 여자 집안에서 혼인 의사를 받아들이는 절차. ②문명(問名):남자 집안에서 여자 쪽 외가 집안을 알기 위하여 그 어머니의 성(姓)을 묻는 절차. ③납길(納吉):신랑 집에서 혼인의 길흉을 점쳐 보고 결과를 신부 집에 알리는 절차. ④납폐(納幣):신랑 집에서 혼인이 이루어짐을 표하는 예물을 신부 집에 보내는 절차. 납징(納徵)이라고도 함. ⑤청기(請期):신랑 쪽에서 정한 혼인할 날에 대하여 택일해 줄 것을 청하는 글을 신부 집에 보내는 절차. ⑥친영(親迎):신부 집에서 혼례식을 올리고 신랑이 신부를 데려오는 절차. 이때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거나, 신부가 시집으로 처음 오는 일을 신행(新行) 또는 혼행(婚行)이라고 함. 2008.01.10/월건(月建) 달마다 배당되는 간지(천간+지지)에서 지지(地支)는 일정하다. 윤달은 원래의 그달 월건을 계속 쓴다. 자(子:동짓달) ;;;;;;;;축(丑:섣달) ;;;;;;;;;;;인(寅:정월) 묘(卯:이월) ;;;;;;;;;;;진(辰:삼월) ;;;;;;;;;;;사(巳:사월) 오(午:오월) ;;;;;;;;;;;미(未:유월) ;;;;;;;;;;;신(申:칠월) 유(酉:팔월) ;;;;;;;;;;;술(戌:구월) ;;;;;;;;;;;해(亥:시월) 천간(天干)의 갑년(甲年)이나 기년(己年)의 구월부터,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등을 차례로 배당한다. 예컨대, ‘을축년 정월’은 갑자년 구월부터 헤아려서 다섯 번째 달에 해당하므로 천간은 무(戊)이며, 지지는 인(寅)이므로 월건은 ‘무인(戊寅)월’이 된다. 2008.01.11/'웃음’을 나타내는 말 크게 소리 내어 웃는 웃음 깔깔 웃음. 껄껄 웃음. 너털웃음. 소리 없이 웃는 웃음 눈웃음. 우습지 않은데 웃는 웃음 선웃음. 쓴웃음. 억지웃음. 헛웃음. 남을 조롱하는 웃음 비웃음. 코웃음. 2008.01.12/(전통적인) 우비(雨備)의 종류 머리에 쓰는 것 - 갈모, 전모, 갈삿갓(우립). 입거나 등을 덮는 것 - 우삼, 유삼, 도롱이(누역), 접사리, 우의. 발에 신는 것 - 나막신, 진신(유혜), 장화 손에 들고 위를 가리는 것 - 우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