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 ı ĿØЦЁ УØЧ/´˝˚³οο ı Łονё 朗誦

사라져 가는 목소리들/ 다니엘 네틀 & 수잔 로메인

수로보니게 여인 2013. 4. 19. 11:21

 

다니엘 네틀 & 수잔 로메인,「사라져 가는 목소리들」(낭독 김형석)

 

 


다니엘 네틀 & 수잔 로메인의「사라져 가는 목소리들」을 배달하며


전북 김제의 한 초등학교에서 '까막눈' 할머니들이 한글을 깨치려고 사용한 교재는 시선했습니다. 시방, 쇠때, 남정내, 하나씨(할아버지), 가새, 에미(며느리), 거시기와 같은 노인들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단어들인, 그 고장 방언으로 꾸며졌습니다. 평생 까막눈으로 산 노인들이 당장 읽고 쓰시려면 외국어 같은 표준어보다는 당신들의 입말들을 익히는 게 훨씬 효과적이었겠죠. 할머니들의 반응도 좋았다고 합니다. "아따 선상님, '거시기'는 못 배운 촌사람만 쓰는 말인 줄 알았당게. 핵교서도 이런 말을 쓰니 훈짐나부러요(마음이 훈훈해요)"(경향신문 2005, 6, 9). 표준어정책과 언어의 다양성을 동시에 생각해볼 수 있는 특별한 풍경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요즘 국어교과서들에서도 방언에 할애하는 단원들이 눈에 띄어 반가웠습니다. 미국 '사멸위기언어연구소'의 언어학자들은 지구상에 남은 6000여 개 언어가 2주에 하나씩 사라지고 있으며, 백 년 뒤에는 절반이 사라지리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방언을 아끼는 작가로서 어느 방언 하나를 문장에 옮길 때마다 최후의 문장을 쓰는 심정이 되고는 합니다. 최근 들어 박형서의 「아르판」이나 김애란의 「침묵의 미래」와 같은 수작들이 직접적으로 언어의 다양성을 상상력의 기반으로 삼고 있는 것도 그런 심정의 반영이 아닐까요.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생각

고전 산책에서도 옛것을 그리는 글을 읽었는데

사라지는 것이 어디 언어뿐이랴

물건도

사람도

세상의 모든 것이 새로운 문화라는 이름아래

사라져가고 있다.

 

괜시리(괜스레) 슬퍼지는 이유는

내가 아날로그 사고를 가진 이유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