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문학의 흐름(다음카페: 수일재)
구분 시대별 |
시 |
소 설 |
희 곡 | ||
근대극 |
신파극 | ||||
1910 년대 |
o 교훈시(계몽적 내용, 육당 최남선) o 『태서문예신보』(1918) - 최초 문예지(번역시) o 『창조』(1919) - 문예동인지
* 이로부터『폐허』(1920), 『장미촌』(1921) 『백조』(1922), 『금성』(1923),『영대』․ 『조선문단』(1924) ⇒ 암기법 : 창피한 장백산 |
o 신소설의 효시 - 이인직의『혈의 루』(1906) → 하편 <모란봉> o 근대소설 특징 ① 영웅적 형상의 약화 ② 단선적 서술구조의 약화 ③ 전지적 서술자의 후퇴 ④ 시간화 경향에서 공간적 경향으로 o 이광수(무정), 근대소설 효시, 장편소설, 계몽적(관념적) 민족주의 최초작: 사랑인가 ① 1910년 시대현실 반영 ① 주인공이 지도자적 위치 ② 보통사람이 주인공 長點 // 短點 ② 구조자 등장 ③ 서술문체의 변화 (‘지구전’) ③ 전지적 작가 시점 |
판소리의 분창형식: 唱劇 o 신연극의 효시(1908) - 이인직의「은세계」 o 최초 근대희곡 - 조중환의「병자 3인」 (1912) o 최초 근대 사실주의극 - 이광수의「규한」 |
*일본에서 온 극 <이식(移植)신파>
o 최초의 신파인 : 임성구→ <혁신단>
| |
1920 년대 |
초 반 |
o 감상주의, 주관주의(슬픈 비애) - 세기말적 현상(외래적 허무주의), 1차 세계대전, 3.1운동 실패 ① 김소월 : 전통적 정감을 민요적 리듬 형상화 <夜의 雨滴>, <산>, <가는 길>, <삭주구성> 소설<함박눈>, 평론<시혼> 이상화: <단조>, 평론 <문단측면관> ② 한용운 : 불교의 형이상학적 내용을 여성적 호흡과 리듬으로 형상화 |
o 사회현실 반영, 단편소설 위주, 예술성, 서민계층 와해, 프로문학 활발(김기진, 박영희, 건축논쟁) ① 김동인의 공적 -㉠ 최초의 순수문예지『창조』 창간, <笞刑> ㉡ 다양한 문예사조에 입각한 작품 ㉢ 문학의 독자성을 주장 (예술성의 고양) ㉣ 간결하고 개성적인 문체의 사용 ㉤ 비속어 및 사투리를 최초로 소설에 도입 ㉥ 과거형 시제 ② 현진건(『운수 좋은 날』): 식민지 시대의 궁핍한 현실과 가난 → 기한의 민중들에게 기적적인 행운이란 없다 <타락자> ③ 최학송 - 신경향파작가로 극한적인 빈궁을 소재 <홍염>: 간도에 이주한 조선인 이농민의 비극을 표현 나도향 <幻戱>, 염상섭 <暗夜>와 <묘지>를 <만세전>으로 변경 |
o 현철 『조선배우학교』(1925) → 서구연극이론 소개
o 박승희, 김기진 『토월회』
- 저질 신파극에 대항 - 서구적인 근대극의 싹을 심는데 이바지 |
<개량신파>
- 이기세『예술협회』 (1921) - 윤백남『민중극단』 (1922) - 김소량 『취성좌』 |
o 프로문학(프롤레타리아 문학): 문학을 무기화 o 카프(KAPF) → 사회주의, 경향파, 참여문학 RAPF(러시아), NAPF(일본) | |||||
후 반 | |||||
1930 년대 |
초 반 |
o 시문학파 : 언어의 기교, 조탁(프로문학 반발) ① 김영랑 : 개성적인 정서를 한국적인 운율로 ② 정지용 : 한국적이며 동양적인 멋 o 모더니즘: 기계와 도시문명의 공허한 시각화 6.25 이후엔 ‘후반기’ (후기 모더니즘) o 해외문학파: 수입된 이론을 우리시에 적용 |
o 예술성 위주의 창작활동, 장편소설이 주류
① 채만식(풍자소설) : ‘소년 모티프’ <치숙(痴叔)> ㉠ 진보주의적 개량주의자 ㉡ 풍자기법 사용 ㉢ 세태소설 작가 ② 이효석의 에로티시즘 (돈<豚>, 분녀<粉女>, 들, 메밀꽃 필무렵) 유진오의 지식인 소설, 채만식과 한때 ‘동반자 작가’ ③ 이상(심리소설) : 실험정신, 인간의 자의식을 해부, <지주회시> ④ 김유정(농촌소설): 향토적 서정미, 아이러니 기법, 독특한 문체
o 1930년대 농민문학, 야학 - ‘동아일보’, 브나로드 운동(민중 속으로)의 영향 → |
o 유치진 『극예술연구회』(1931) - 본격적인 신극단체 - 해외문학파 멤버 - 근대적인 번역 - <토막> 창작극 - 서구 근대극을 계승한 리얼리즘극
1938년 흥행단체 <劇硏座>로 변질 쇠퇴 |
<고등신파>
- 동양극장(1935) (신파전용극장) → 배귀자 부부 -『청춘좌』 『호화선』 등 신파극단
⇒ 대중적인 신파극 전성기 |
후 반 |
o 생명파 : 생명적인 구경의 탐구에 주력 ① 서정주 : 『시인부락』(1936) ② 유치환 : 인간의 문제와 생명적 탐구 치중 o 청록파 : 자연미, 국어미, 생명원천 이데아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靑鹿集> o 예외 : 윤동주 - 식민지 인텔리 o 1930년대 동인지-문장, 시문학, 조광, 자오선 |
'´˝˚³οο ı Łονё 資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漢文의 文法 및 構造 (0) | 2009.05.20 |
---|---|
한문의세계 (0) | 2009.05.07 |
언어 예술, 심미(審美) (0) | 2009.05.04 |
국문학 개론/ 역사 전기적 (0) | 2009.04.22 |
국문학개론/수필과 논설문 (0) | 2009.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