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석(다음카페 수일재)
1) 문학: 언어 예술, 심미(審美)
o 언어의 과학적 사용: 理性 소쉬르 / 리차드 / 쿤즈
사전적, 표시적, 지시적, 1:1, 외연(外延), 陳述, 논술, 논증
o 언어의 문학적 사용: 感性 (文史哲-理性 // 詩書畵-感性)
함축적, 상징적, 비유적, 1:多, 내연(內延), 假陳述, 광고, 표현
진화론 / 지동설에서 ▶ 아인슈타인 / 프로이트 / 마르크스 / 소쉬르
◎ 문학작품을 평가하는 4가지 관점 ◎
1. 모방론 : 우주 삼라만상, 현실대상 - 진실성
2. 표현론 : 작가의 사상과 감정 표현 - 독창적
3. 효용론 : 독자 - 영향과 감동
4. 존재론(객체론) : 구성의 치밀성과 주제의 통일성
♠ 모방론: 언어를 수단으로 우주의 모습과 인간의 경험 재현(사실 유추)
1. 플라톤 모방론 : 이상국(理想國)에서 ‘시인 추방론’을 주장
2. 아리스토텔레스 모방론 : 개연성의 법칙으로 허구를 인정
(보편타당한 진리구현) ↔ 전형성
♠ 표현론: 작가의 사상과 감정의 표현(頓悟(영감설) / 漸修(장인설)
영감설(靈感說): 선천적 - 엑스터시(광기), 뮤즈, 예언, 주문, 낭만주의 시대. 이백, 이규보의 시마(詩魔), 고은, ‘不速之客’
장인설(匠人說): 후천적 - 조형생리, 상상력. 신고전주의 시대. 두보, 김득신, 신경림
♠ 효용론(향수설, 영향설) : `카타르시스`,독자에게 감동(교화),大丈夫
殺身成仁, 死無餘戀 生無浪憂 호라티우스(독자에게 교훈과 즐거움)
♠ 존재론(객체론): 작품의 내적 원리, 동적 구조, 의미 있는 허구
(자율적 기호, 유기적 관련)
2) 어학: 언어학자는 말을 분석해 본 결과를 기술한다. (예, 문법)
[언어학은 순수과학의 하나다] - 일상 언어
♠ 어린이의 언어습득 이론 :
경험(행동)주의 이론 - 후천적(장기간의 반복훈련)
합리주의 이론 - 선천적
♠합리주의적 이론의 근거 1.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
2. 언어 습득의 균일성 3. 언어의 완전한 통달성
4. 짧은 시일 안에 언어 습득 5. 문장의 무한한 창조능력
* 문화의 발전도와 언어구조의 추상성이나 복잡성의 정도와는 무관(예: 雪)
◎ 언어는 인간의 사고를 철저히 지배
♠ Edward Sapir: 인간은 언어를 매개로 생활
Banjamin Whorf: 우리의 행동과 사고의 양식을 결정하고 주조
Watson: 언어가 없는 사고는 없다.
↔ 不立文字(以心傳心), 음악가, 조각가, 무용가의 예술 활동,
無字書 = 자연(淸風明月) 浩然之氣 // 一望無際 // 鵬程雲開
◎ 세종의 이원적 문자정책과
<훈민정음> 한자 표기 방식 ◎
♠ 훈민정음 제작의 기본 목적:일반 백성을 문자 생활에 참여
♠ 문자정책의 진정한 목적 ↔ 이원론: 국한문 혼용까지 염두
공문서, 역사서, 사상서, 외교문서: 한문
백성 교화 목적: 훈민정음
1. 왕권의 정통성(용비어천가), 2. 포교(불경언해, 유학경전)
*훈민정음 표기방식 - 독자층의 상정(想定) ◎
1. 월인천강지곡 : 해당 정음 표기 뒤에 한자로 부기함(무식층)해海
2. 석보상절, 월인석보 : 한자를 적고 훈민정음자로 부기함 海해
3. 용비어천가, 두시언해, 대산어첩: 한자만 표시, 지식인 대상海
♠[훈민정음]의 `합자해(合字解)`: 국한문 혼용까지 염두 제시
'´˝˚³οο ı Łονё 資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세계 (0) | 2009.05.07 |
---|---|
한국근대문학의 흐름 (0) | 2009.05.07 |
국문학 개론/ 역사 전기적 (0) | 2009.04.22 |
국문학개론/수필과 논설문 (0) | 2009.04.01 |
국문학개론/판소리의 본질과 특성 (0) | 2009.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