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한 독서 방법
1) 성숙한 독자는 글을 읽는 과정 내내 스스로 판단하기와 평가하기를 함께 해 나간다.
2) 책 속에 들어가 있으면서 동시에 책 밖에 나와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3) 자신의 독서 내용을 스스로 통제한다.
4) 읽은 내용을 한 단계 높은 정신의 수준에서 판단하고 조정한다.
‘평가하며 읽기’에 동원되는 능력
분석하며 읽는 능력, 내용 자체만 읽는 능력, 비판하며 읽는 능력
‘평가하며 읽기’의 구체적 방법
1) 내용의 타당성과 공정성을 판단, 평가하며 읽기
2) 자료가 정확한지 판단, 평가하며 읽기
3 내용 및 자료가 적절한지 판단, 평가하며 읽기
4) 글의 논조, 관점, 문체들의 차이를 판단, 평가하며 읽기
5) 인물의 성격. 행동, 의도를 파악하며 읽기
6) 글의 분위기를 파악하며 읽기
7) 글의 구성을 판단, 평가하며 읽기
8) 글의 의도나 목적을 판단, 평가하며 읽기
9) 글에 숨어있는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며 읽기
10) 주장의 신뢰성을 판단하며 읽기
11) 글의 수용 가능성을 판단하며 읽기
=============================================================================================
학습하며 읽기
독서와 학습의 공통점
1) 머릿속에서 앎의 작용이 일어난다.
2) 정보와 지식을 얻고, 보관하고, 활용한다.
3) 주로 문자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4) 지식 정보뿐만 아니라 세계관이나 태도까지도 배운다.
5) 우리의 전인적 인격 성장에 필수적이다.
6)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인간 활동으로 인정받는다.
‘학습하며 읽기’의 원리
※ 무엇을 배울 것인지 학습의 목적을 분명히 하며 읽는다.
** 실용 정보 습득을 위한 독서
** 지식 학습을 위한 독서
** 가치 학습을 위한 독서
** 현실 인식을 위한 독서
** 학교에서의 교과 학습을 위한 독서
※ 읽을 자료의 성격에 따라 읽기 전략을 조절한다.
** 교과서 읽기: 원리 이해하기의 중점을 두어서 읽는다.
** 기사문 읽기: 사건의 개요와 성격을 파악하며 읽는다.
** 논설문 읽기: 주장의 타당성과 논리성을 익히며 읽는다.
** 광고문 읽기: 정보의 정확성과 적절성을 익히며 읽는다.
** 보고서 읽기: 보고 내용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파악하며 읽는다.
‘학습하며 읽기’의 중요성
1) 배우는 자세가 독서 속에서 생활화된다.
2) 자신에게 맞는 학습 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
3) 학습의 자료를 스스로 선정하고 활용할 수 있다.
4) 탐구하는 정신이 강화된다.
=============================================================================================
성공적인 독서를 위한 기술과 전략
성공적인 독서 생활이란? : 책을 읽으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책읽기의 동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독자들은 한 번 읽은 책을 다시 읽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책을 두 번 세 번 읽
음으로써 전에는 몰랐던 새로운 깨달음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험은 독자 자신의 삶을 풍요롭고
윤택하게 해 준다. 따라서, 자신이 읽은 책의 내용이나 그 목록을 정리하는 습관은 능동적인 독서 태도
를 기르고 독서를 생활화하며 평생 독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독서가 주는 감동의 유형
* 경험의 깊이를 더 해주는
* 인간의 심층을 이해하는
* 자신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안나 까레니나’=>인간에 대한 이해, 경험의 확대
* 자연의 세계를 더 잘 이해하는: ‘생물학 까페=> 샴쌍둥이 문제, 동성애, 사랑을 유지하게 하는 호르몬의 분비
* 사회를 더 잘 인식하게 하는
* 지식과 통찰력을 얻는: 역사 관련 서적
* 정서순화, 고양되는데서 오는=>시집, 수필집
*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각종 실용서적
옛말에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속에 가시가 돋친다[一不讀書 口中生 .” 는 말이 있지만,
오늘날은 하루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치는 문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존 경쟁이 격심한
마당에서는 하루만큼 낙오가 되어, 열패자(劣敗者)의 고배(苦杯)와 비운을 맛보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아무리 천재적인 지혜와 역량을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널리 남의 의견을 들어서 중지(衆智)를 모아놓지 아니
하면, 자기 깜냥의 정와(井蛙)의 편견(偏見)으로 독선(獨善)과 독단(독斷)에 빠져서 대사를 그르치는 일은
옛날부터 비일비재(非一非再)하였다. - 이승희「독서와 인생」
「납작납작-박수근 화법을 위하여」
김혜순
드문드문 세상을 끊어 내어
한 며칠 눌렀다가
벽에 걸어놓고 바라본다.
흰 하늘과 쭈그린 아낙네 둘이
벽 위에 납작하게 뻗어있다.
가끔 심심하면
여편네와 아이들도
한 며칠 눌렀다가 벽에 붙여놓고
하나님, 보시기 어떻습니까?
조심스럽게 물어본다.
발바닥도 없이 서성서성.
입술도 없이 슬그머니.
표정도 없이 슬그머니.
그렇게 웃고 나서
피도 눈물도 없이 바짝 마르기.
그리곤 드디어 납작해진
천지 만물을 한 줄에 꿰어 놓고
가이없이 한없이 펄렁펄렁.
하나님, 보시기 마땅합니까?
=================================================================================
마무리 활동
수능 언어 영역 비문학 영역 평가 요소
**사실적 사고
-글의 내용과 관련되는 요소를 사실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
-독해의 기본 원리, 자료에 담긴 정보 확인
**추론적 사고: 글 속에 담긴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이끌어내는 능력
**비판적 사고: 글의 정당성이나 적절성, 또는 가치를 평가하는 능력
**창의적 사고: 주어진 상황과 조건에 맞게 주어진 언어 자료를 변형하거나 새롭게 표현하는 언어 활동
내가 만난 이중섭
김춘수
광복동(光復洞)에서 만난 이중섭(李仲燮)은
머리에 바다를 이고 있었다.
동경(東京)에서 아내가 온다고
바다보다도 진한 빛깔 속으로
사라지고 있었다.
눈을 씻고 보아도
길 위에
발자국이 보이지 않았다.
한참 뒤에 나는 또
남포동(南浦洞) 어느 찻집에서
이중섭(李仲燮)을 보았다.
바다가 잘 보이는 창가에 앉아
진한 어둠이 깔린 바다를
그는 한 뼘 한 뼘 지우고 있었다.
동경(東京)에서 아내는 오지 않는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