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ЙaрруÐaуο/´˝˚³οοㅎЙㅍЙ 讀書

글에 따라 독서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정보의 소통을 위한 글 읽기

수로보니게 여인 2008. 6. 9. 18:48

讀書百遍義自見 

17~ 21

 글에 따라 독서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정보의 소통을 위한 글 읽기 
 
1. 정보 소통을 위한 글 읽기
   1) 글에 명시적으로 드러난 내용을 정확히 읽어야 한다.
   2) 그것으로부터 다른 사실이나 정보를 수집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실상 독서에 왕도가 있는 건 아니다. 다양한 성격의 글과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글을 읽는 동안 서서히 독서력이 향상 되는 것이다. 더욱이 글을 읽어가면서 글의 논지 전개에 따라 글의 내용을 요약하며 이해하고, 그 글의 내용을 다른 글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는 것은 정보 전달을 위한 글 읽기의 핵심적인 방법이다.
 
** 독서 행위는 일방적 행위가 아니라 글쓴이와 독자의 쌍방적인 행위이며, 의미를 재구성하는 행위이다. 
 
2. 정보소통을 위한 독서 전략
   1) 논지 전개에 따라 글의 내용을 요약하며 이해한다.
   2) 글의 내용을 다른 글과 연관 지어 생각해본다. 
 
** 통독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내용을 요약하며 구체적으로 읽는 방식이 필요하다.
===============================================================================================

 정보소통을 위한 글 읽기- 교양의 정신

 
1. 「교양의 정신」내용 요약
   1) 교양은 개발과 경작의 과정과 관계된다: 교양과 농사일의 유사성 개발이나 경작이나 교양 - ‘컬처(culture)'
       교양은 궁극적으로 개성에 관계되는 문제이다. 이 경우, 개성이란 일종의 처녀지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리하
       다. 처녀지를 개간하고 씨를 뿌리고 거름을 주고 제초를 하고 하여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하는 개발과 경
       작의 과정을 교양이라고 할 수 있다. 
 
   2) 교양은 고독한 정신 활동의 결과이다: 개인과 집단의 조화문제
       교양의 정신은 우선 고독의 정신이다. 왜냐하면 교양의 결실이요 또 종자인 문화는 사회적일지 모르나,
       그것을 개성 내부에서 개발시키고 배양하는 데는 오랜 동안의 고독의시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3) 교양은 초월의 정신이다: 실리관념의 극복문제
       교양의 정신이 고독의 정신이라면 그것은 또 어느 정도까지 초월의 정신이다.
       교양이 사회적 자극에서 비롯되는 동시에 그것을 내면에 있어서 비밀히 소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현실 생활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초월적 태도를 지녀할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교양은 문화를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목적 그 자체로서 추구할 때만 가능한 것이다. 
 
   4) 교양은 편파됨을 기피한다: 전문교육과 교양교육의 비교
       교양은 끝까지 개성의 원만한 발달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재능 개발에 있어 편파됨을 기피한다.
       소위 교양인과 전문가는 현대와 같이 사회적 분화가 극도로 발달한 사회에 있어서는 양립되지 않는 두 개념
       이다. 전문가란 세밀한 일부분에 있어서만 특수 기능이 발달한 사람이니, 그는 인간 전체로 본다면 한 기계
       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교양은 이러한 인간 기계화에 대하여 엄숙한 거부의 태도를 취한다.
 
   5) 교양은 일반적인 동시에 포용적이다: 휴머니즘의 포용성과 종교의 편협성
       교양은 일반적인 동시에 또한 포용적이다. 어떤 성질의 문화에 대해서나 또는 문화의 어떤 부분에 대해서나
       교양은 배타적이 아니다. 무엇이나 자기 개성의 양식이 될 만한 것이면 섭취하고 또 이질적인 것일지라도
       일단은 받아드리는 것이 교양의 정신이다.
 
   6) 교양은 양식으로 나타난다: 학식과 양식의 비교
       한 가지 부언하고 싶은 것은 학식과 양식(良識)이 다르다는 말이다. 학식은 지식의 축적이고,
      양식은 교양을 표증 하는 비평적 감식력이다. 우리는 독서로 말미암아 학식을 얻을 수는 있으나 학식이 있다
      고 양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학식은 결국에 있어 지식의 축적이나 다른 학자의 것을 그대로 빌려올 수도 있
      지만, 양식은 오랜 동안의 교양만이  가져올 수 있는 지혜이기 때문에 이것은 함부로 차용할 수는 없다.
 
 ** 비평적 감식력: 사상에 대한 심오한 지식을 바탕으로 그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이해하여 평가할 수
                  있는 능력, 문학 작품이나 사회 현실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지성인의 기본능력에 해당한다. 
 
   7) 교양의 정신은 비평의 정신이다.
       교양인은 사회에 대하여 학식을 내휘두르지 않으며, 정밀, 정확한 양식을 가지고 맹목적으로 움직이지 아니
       하며,  자기 자신의 가치감(가치감)과 비평기준을 가지고 적절한 판단을 내리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가장 중요한 점이다.
 
「조기 영재 교육의 필요성」내용 요약
   1) 우리의 시대가 전문화, 다양화되고 있다.
   2) 따라서 이 시대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3) 교육은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 시켜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4) 그러므로 조기 영재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
  엑스(X)선의 우연한 발견
1. 정보소통의 글 읽기- 「엑스(X)선의 우연한 발견」  
 
** 내용 단락 나누기
   1) 처음부터 세세하게 나누지 말고, 크게 두세 부분으로 나누어 놓고 이를 세분화한다.
   2) 글쓴이의 나이나 태도, 관점이 바뀌는 부분에서 내용 단락을 나눈다.
   3) 전환이나 역접의 접속어가 들어있는 곳에서 내용이 나뉠 가능성이 많다.
 한 편의 글은 내용단락으로 나누어야 생각의 덩어리를 쉽고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다.

 
1. 과학 관련 글 읽기 전략
   1) 과학적 사실과 원리를 이해한다.
   2) 배경지식을 활용하며 읽는다.
   3) 각 단락의 중요한 내용들을 요약하며 읽는다.
   4) 각각의 글의 핵심 내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한다.
   5) 각 부분의 소제목을 붙여본다.

1)엑스선의 발견 과정 1: 1879년 크룩스관의 발명
   19세기 후반, 많은 과학자들은 전기를 부분, 즉 진공 속에서 방전시켰을 때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을
   연구하고 있었다. 1879년에 있은 크룩스관의발명은 이 연구에 불을 붙였다.
 
 크룩스관: 긴 원통형의 유리관으로 2개의 전극이 있는데, 한쪽은 유도코일을 거쳐 전지의 양극에 이어
                  져 있고, 또 하나는 마찬가지 모양으로 음극에 이어져 있다. 관에 달린 작은 배기구에 진공
                  펌프를 연결해서 관안의 공기를 완전히 빼고, 전류를 통과시키면 관의 벽은 엷은 녹색으로
                  희미하게 빛을 낸다. 과학자들은 이 빛을 형광이라고 부른다.   

엑스선의 발견 과정 2: 레나르토 교수가 개량된 크룩스관 고안, 음극선이 얇은 유리벽은 통과하지 못하지
                             만 얇은 알루미늄박이라면 뚫고 나갈 수 있음을 발견, 유리벽 일부에 알루미늄박으
                             로 창을 단 계량된 형태의 크룩스관을 고안
엑스선의 발견 과정 3: 뢴트겐(Rontgen, W. K., 1845~ 1923) 교수가 크룩스관에서 새로운 종류의 선이
                             방출되고 있음을 발견.
   “엑스선을 외과에 응용하는 방법을 발전시켜서 외과의에게 가장 강력한 진단 방법을 제공한 사람
           들보다 인류를 고통에서 구제하는데 공을 세운 사람은 거의 없다.”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위해서는 과학자의 상상력이 크게 작용한다.

 
2. 더 깊이 읽기-「화석, 사실인가 거짓인가」
1) 호일 등의 주장
** 시조새는 단지 원시적인 도마뱀에 불과한 것이다.
**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당시 누군가가 석회를 도마뱀 화석위에 덧바르고 새같이 보이게끔 깃털 자국을
    냈다.
** 과학자들을 골탕 먹이기 위해 그런 짓을 했다.
** 진화론을 뒷밭침할 증거를 마련하게 위해 그런 짓을 했다.

 
시조새 화석과 진화론의 관계
시조새의 화석이 설령 가짜라고 해도 생물의 진화론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화의 진실은 어떤 특정한 화석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수많은 화석 이외의 다른 많은 증거들이 진화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설령, 화석이 없다 해도, 해부학적 증거들이 있다. 그러나 화석들이 진화에 관한 가장 생생한 증거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시조새 화석이 단일 화석으로는 가장 훌륭한 진화의 증거라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2. 「엑스선의 우연한 발견」에서 정보를 정리해보자.
   1) 크룩스관의 발명과 개량은 엑스선 발견의 밑거름이 되었다.
   2) 뢴트겐 교수는 실험 중 크룩스관에서 검은 두꺼운 종이도 통과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선이 방출
       되고 있음을 발견하고 ‘엑스(X)선“ 이라 명명했다.
   3) 이후 엑스선을 외과에 응용하는 방법을 발전시켜 엑스선은 외과 의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
 한국 건축의 미의식


1. 정보의 소통을 위한 글 읽기4 - 「한국 건축의 미의식」

  

 1) 동양 건축에서의 ‘사이’의 개념

 한국 건축은 ‘사이(間)’의 개념을 중요시 한다. ‘사이’의 크기는 기능과 사회적 위계에 영향을 받는 탄성이 있다. 또, 공간, 시간, 인간 모두 사이의 한 동류이다. 서양의 과학적 사고가 물체를 부분들로 구성되었다고 보고 불변하는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본질 파악을 추구하였다면, 동양은 사이, 즉 요소들 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거기에서 가치와 의미의 원천을 찾았던 것이다.

** 동양의 ‘사이’: 요소들 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여기서 가치와 의미를 찾음.

** 서양의 ‘부분’: 물체를 구성하는 요소, 분석의 대상

 

** 동양 건축과 서양 건축의 비교

                동양 건축

                서양 건축

            사이의 개념 중시

                부분 중시

         요소들 간의 관련성 추구

           요소들의 분석 추구

  객체와 자연환경과의 어울림을 통해 미를 추구

     논리와 객체의 형태미 추구

             상대주의적 태도

             절대주의적 태도


** 동양의 목재 가구법에 의한 건축 구성 형식

     - 환경에 개방적이다.

     - 우기에 환기를 좋게 한다.

     - 내 ‧ 외부 공간의 차단을 거부한다.

     - 자연과의 대화를 강조한다.

     - 비교: 조적식(돌, 벽돌 따위를 쌓아 올리는 건축 방식)


  2) 동양 건축의 여백의 미

 동양 건축은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間)가 깊은 추녀, 디딤돌, 기단, 마루의 높이 등에 의해 밀도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 세종로에서 경복궁을 볼 때에도 삼각산이 축을 살짝 비껴 여백을 메워주고 있음은 우연의 결과가 아니라 세밀한 풍수(風水)에 의한 입지 설정이라고 나는 믿는다. 동양 건축은 허한 방을 두고 마당을 두어 ‘무(無)’ 또는 ‘여백의 미’ 를 주고, 이용자 참여에 의한 건축의 본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허(虛)는 실(實)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서양의 빈(void)공간과는 달리 기(氣)가 있는 공간이다.


  3) 사이(間)의 의미

동양 건축의 미는 건축물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과 자연의 사이, 건축물과 이용자와의 사이의  설정에 있으며, 자연과 인간에 개방된 시스템을 지향한다. 이러한 건축은 그의 특수성과 아름다움이 건물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과 환경과의 연결의 특수성, 아름다움에 있는 것이다.


  4) 동양 건축에서 자연이 갖는 기능

동양에서의 독창성은 남과의 차이에 있는 것이 아니고 자연의 뿌리, 본질, 근원에 접함으로써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달리 말해, 동양의 창조와 미는 인간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연 속에 이미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고 돋보이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창작을 위해서는 마음을 비우고 마음의 상태를 ‘자연스럽게’ 하여 자기와 자연의 일체 또는 선(禪)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5) 동양 건축의 미의식

     - 한국 건축은 ‘사이(間)’의 개념을 중요시 한다.

     - 동양 건축은 여백의 미를 주고 대상들 사이의 개방된 시스템을 지향한다.

     - 동야에서의 독창성은 자연과의 어울림에 있다.

     - 동양의 독창성과 미는 상대주의적 태도에 바탕을 둔다.


2. 더 깊이 알기 -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에 관하여」

   1)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 동양에 대한 서양의 사고, 인식, 표현

     - 서양이 날조한 조작된 신비적 이미지

     - 동야에 대한 서양의 사고방식이자 지배 방식


   2) 사이드 ‘ 오리엔탈리즘’의 근본배경

     - 동양과 서양 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구분, 즉 흑백논리

 

     “민족적 감정의 차원에서 문화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것은 민족 우월주의의 편견 이외의

       다른 아무것도 아니고 궁극적으로 문화라는 실제의 명확한 인식에 장애가 된다.”


1. 예술 관련 글짓기 전략

   1) 비교되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두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 정리한다.

   2) 나눈 부분을 세분화하여 각 단락의 중요한 내용들을 요약하며 읽는다.

   3) 각각의 글의 핵심 내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한다.


2. 동양 건축의 미의식

   1) 한국 건축은 ‘사이(間)’의 개념을 중요시 한다.

   2) 동양 건축은 여백의 미를 주고 대상들 사이의 개방된 시스템을 지향한다.

   3) 동양의 독창성과 미는 상대주의적 태도에 바탕을 둔다.


 여백의 미

                         법정


          서화에서는

          흔히 ‘여백의 미’를 들고 있다.

          이 여백의 미는

          비록 서화에서만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끼리 어울리는        

          인간관계에도 해당될 것이다.

          무엇이든지 넘치도록 가득가득 채워야만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에게는

          이런 여백의 미가 성이 차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 걸음 물러나 두루 헤아려 보라.

          좀 모자라고 아쉬운 이런 여백이 있기 때문에

          우리 삶에 숨통이 트일 수 있지 않겠는가.

          친구를 만나더라도 종일 치대고 나면,

          만남의 신선한 기분은

          어디론가 새어 나가고

          서로에게 피곤과 시들함만 남게 될 것이다.

          전화를 붙들고 있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우정의 밀도가 소멸 된다는 사실도

          기억해 두어야 한다.

          바쁜 상대방을 붙들고 미주알고주알

          아까운 시간과 기운을 부질없이 탕진하고 있다면,

          그것은 이웃에게 피해를 입히고

          자신의 삶을 무가치하게 낭비하고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인간관계에는

          그립고 아쉬움이 받쳐주어야 한다.

          덜 채워진 그 여백으로 인해 보다 살뜰해질 수 있고,

          그 관계는 항상 생동감이 감돌아

          오랜 세월을 두고 지속될 수 있다.

====================================================================================

     비문학 영역 평가 요소와 해결 방법

     

    1) 사실적 사고: 겉으로 드러난 사실을 정확히 파악한다.

    2) 추론적 사소: 문장 사이에 숨어있는 의미를 발견한다.

    3) 비판적 사고: 글쓴이의 생각을 따져본다.

    4) 창의적 사고: 새로운 사실을 덧붙여 생각한다.

    5) 어휘, 어법의 이해: 근거를 따지고 주장을 정리한다. 


    1. 이누이트의 이글루


    1)1 단락 요지: 이글루 소개와 이글루의 원리에 대한 의문

    ‘이누이트(에스키모)’하면 연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이글루이다. 그들의 주거 시설에는 빙설을 이용한 집 외에도 목재나 가죽으로 만든 천막 등이 있다. 이글루라는 말은 이러한 주거 시설의 총칭이었으나, 눈으로 만든 집이 외지인의 시선을 끌어 그것만 일컫는 말이 되었다.

    이글루는 눈을 벽돌 모양으로 잘라서 반구 모양을 쌓은 것이다. 눈 벽돌로 만든 집이 어떻게 얼음집으로 될까? 이글루에서는 어떻게 난방을 할까?

    이 글은 이누이트(에스키모)들이 이글루를 짓는 과정과 이글루의 난방 방식에 대해 말하면서, 그 속에 담겨 있는 과학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2) 2 단락 요지: 눈 벽돌집을 얼음집으로 만드는 과정

    일단 눈 벽돌로 이글루를 만든 후에 이글루 안에서 불을 피워 온도를 높인다. 온도가 올라가면 눈이 녹으면서 벽의 빈틈을 메워준다. 어느 정도 눈이 녹으면 출입구를 열어 물이 얼도록 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눈 ㉠벽돌집을 얼음집으로 변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눈 사이에 있던 눈 사이에 있던 공기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얼음 속에 갇히게 된다. 이글루가 뿌옇게 보이는 것도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기체에 부딪힌, 빛의 산란 때문이다.


    ※[보기]를 참조할 때, 단어의 구조가 ㉠과 다른 것은?

    [보기] ‘벽돌집’은 ‘재료+대상’의 의미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벽돌로 만든 집’이라는 뜻이다.

     * 두부콩    * 유리창    * 보리밥    * 비단은   * 밀짚모자


    3) 3단락 요지: 이글루 안이 따뜻한 이유

    이글루 안은 밖보다 온도가 높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글루가 단위 면적당 태양 에너지를 지면보다 많이 받기 때문이다. 이것은 적도 지방이 극지방보다 태양빛을 더 많이 받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다른 이유로 일부 과학자들은 온실 효과를 든다.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복사 에너지의 대부분은 자외선, 가시광선 영역의 단파이지만, 지구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는 적외선 영역의 장파이다. 단파는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지만, 복사파인 장파는 지구의 대기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지구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된다. 이를 온실 효과라고 하는데, 온실 유리가 복사파를 차단하는 것과 같다는데서 유래 되었다. 이글루도 내부에서 나가는 장파인 복사파 얼음에 의해 차단되어 이글루 안이 따뜻한 것이다. 


    4) 4단락 요지: 이글루 안의 온도를 높이는 법

    이글루 안이 추울 때 이누이트는 바닥에 물을 뿌린다.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지는 것을 경험한 사람은 이에 대해 의문을 품을 것이다. 여름철, 마당에 뿌린 물은 증발되면서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시원해지는 것이지만, 이글루 바닥에 뿌린 물은 곧 얼면서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실내 온도가 올라간다. 물의 원리적 변화과정에서는 열의 흡수와 방출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때, 찬물보다 뜨거운 물을 뿌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바닥에 뿌려진 물은 온도가 높고 표면적이 넓어져서 증발이 빨리 일어나고, 증발로 물의 양이 줄어들어 같은 양의 찬물보다 어는 온도 까지 빨리 도달하기 때문이다.


    5) 5단락 요지: 이누이트의 삶에 지혜가 담긴 이글루

    이누이트가 융해와 응고, 복사, 기화 등의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이글루를 짓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눈으로 구조물을 만들었으며, 또한 눈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였다. 이글루에는 극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경험을 통해 터득한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위 글에 대한 설명 =>구체적 현상에 들어있는 과학적 원리를 밝히고 있다.

    이글루 건축 과정의 구실=> 불의 열에 의해 융해되는 눈이다.


    먼저 눈 벽돌로 이글루를 만든 후에 이글루 안에서 불을 피워 온도를 높인다.

    온도가 올라가면 눈이 녹으면서 벽의 빈틈을 메워준다.

     

    내용: 이누이트의 주거 시설인 이글루에 담긴 과학적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글이다.

           어떻게 눈 벽돌로 얼음집을 만들었으며, 난방은 어떻게 하는지 등을 하나하나 설명하고 있다.

           이글루의 온도가 왜 바깥보다 높은지, 안이 추울 때는 어떻게 온도를 높이는지 등이 해명되는

           과정에서 이누이트들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삶의 지혜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다.


    전개방법: 사실 위주의 글에서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명의 방법을 사용한다.

                 의견 위주의 글에서는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설득의 방법을 활용한다.  


     A story void of meaning 의미[] 없는 이야기


    영어사전홈

                                     Write It Down Make It Hap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