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老(늙을 노), 馬(말 마), 之(어조사 지), 智(지혜 지)
늙은 말의 지혜
* 아무리 하찮은 사람이라도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지혜나 장기는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또, 의미가 변하여, 풍부한 경험에서 나오는 지혜를 가리키기도 한다.
출전: <한비자> 세림 편.
춘추 시대 때, 제나라의 명제상 관중과 대부 습붕(濕朋)은 환공을 따라 고죽국(孤竹國)을 정벌하러 갔다.
그런데 갈 때는 봄이었는데, 올 때는 겨울이라서 악천후 속에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이 때, 관중은 영단을 내려 이렇게 말했다.
"이럴 때에는 늙은 말의 지혜(老馬之智)가 필요하다."
늙은 말은 본능적으로 길을 찾아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과연 늙은 말을 풀어놓고 길을 따라가다 보니 마침내 길을 찾게 되었다.
또, 산 속을 가다가 물이 떨어져 갈증으로 심한 고생을 하게 되었다. 그러자 습붕이 말했다.
"개미는 겨울에는 남쪽에 집을 짓고, 여름에는 산 북쪽에 집을 짓는다.
개미집이 있는 곳에서 지하 여덟 자를 파면 물이 나온다."
일행은 개미집을 찾아 내어 땅을 팠는데, 정말로 물이 솟아나왔다.
** 말이나 개미 같은 하찮은 미물에게서도 지혜를 배울 수 있는 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