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 세설신어] [14] 청선(聽蟬) [정민의 세설신어] [14] 청선(聽蟬) • 한양대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7.30 22:08 / 수정 : 2009.07.30 23:10 퇴계 선생이 주자(朱子)의 편지를 간추려 '회암서절요(晦菴書節要)'란 책을 엮었다. 책에 실린, 주자가 여백공(呂伯恭)에게 답장한 편지는 서두가 이랬다. "수일 이래로 매미 소리가 더욱 맑습니다. 매.. ´˝˚³οο덕일& 정민 2009.07.31
[정민의 세설신어] [10]열하일기 완성본기사 [정민의 세설신어] [10]열하일기 완성본기사 입력 : 2009.07.02 22:44 / 수정 : 2009.07.02 22:44 여행은 낯선 풍물 속에서 자신과 맞대면하는 일이다. 1780년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17371805)은 종형인 박명원을 따라 연행길에 동행했다. 그는 여정 도중 곳곳에서 당시 조선의 맨얼굴을 보았다. 망한 지 130년이 더.. ´˝˚³οο덕일& 정민 2009.07.03
[정민의 세설신어] 책 읽는 소리 [정민의 세설신어] 책 읽는 소리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6.25 22:02 / 수정 : 2009.06.25 23:32 사랑채에서 할아버지와 함께 자던 소년은 새벽마다 목청을 돋워 읽으시던 고문의 가락을 들었다. 눈을 감으면 그 소리는 어제 들은 듯 새록새록 평생을 따라다녔다. 구순의 한학자 손종섭 선생께서.. ´˝˚³οο덕일& 정민 2009.07.01
[정민의 세설신어] [8] 기(機) [정민의 세설신어] [8] 기(機) 정민 한양대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6.18 23:32 / 수정 : 2009.06.23 09:48 기(機)는 목(木)과 기(幾)를 합한 글자다. 복잡한 장치로 된 기구를 말한다. 원래는 쇠뇌를 발사하는 방아쇠를 뜻했는데, 나중에는 이런저런 기계장치를 가리키는 말로 썼다. 이 글자가 들어간 어휘를 보.. ´˝˚³οο덕일& 정민 2009.07.01
[7] 다산의 학술논쟁 [정민의 세설신어] [7] 다산의 학술논쟁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6.11 22:19 / 수정 : 2009.06.18 11:16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화랑에서 10일부터 조선시대 서화감상전 〈안목(眼目)과 안복(眼福)〉전이 열리고 있다. 이 전시에 다산 정약용 선생의 친필 서화 다섯 점이 처음 공개되었다. 필자.. ´˝˚³οο덕일& 정민 2009.06.18
[5] 사천왕사와 문두루(文豆婁) 비법 [정민의 세설신어] [5] 사천왕사와 문두루(文豆婁) 비법 •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 2009.05.28 23:05 668년(문무왕 8년), 신라의 운명은 한 치 앞을 가늠할 수 없었다. 고구려를 멸망시킨 기쁨도 잠깐, 당나라 군대는 전쟁이 끝나고도 돌아갈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내친김에 신라까지 쳐서 아예 한반도 .. ´˝˚³οο덕일& 정민 2009.05.29
[3] 과골삼천(骨果骨三穿) [정민의 세설신어] [3] 과골삼천(骨果骨三穿) •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입력 : 2009.05.14 22:17 / 수정 : 2009.05.14 23:27 다산 정약용이 흑산도의 정약전에게 보낸 편지의 한 대목. "여기에도 내왕하는 소년이 몇 있고 배움을 청하는 어린아이도 몇 됩니다. 모두 양미간에 잡털이 무성하고, 온몸에 뒤집어쓴 .. ´˝˚³οο덕일& 정민 2009.05.15
사랑(舍廊) 문을 닫으며 사랑(舍廊) 문을 닫으며 3년 6개월 전 사랑(舍廊)의 첫 원고 '선조들의 강, 대릉하에서'를 보낸 곳은 중국령 내몽골 적봉(赤峯)시였습니다. 세 곳을 전전한 끝에야 겨우 국제 팩스가 되는 호텔을 찾아 볼펜으로 쓴 원고를 보냈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심양(瀋陽)에서 교포 원로 역사학자와 함께 요하(遼河).. ´˝˚³οο덕일& 정민 2009.04.01
[이덕일 사랑] 그림책의 부활 그림책의 부활 조선 중기 최립(崔笠)은 '간이집(簡易集)'의 첩면(帖面)에서 "우리나라의 명화는 재능이 뛰어난 종실(宗室)에서 많이 나왔다"면서 석양정(石陽正)과 학림수(鶴林守)를 예로 들었다. 석양정 이정(李霆)은 매죽(梅竹)으로 이름났고, 학림수 이경윤(李慶胤)·영윤(英胤)형제는 수석(水石)으로.. ´˝˚³οο덕일& 정민 2009.04.01
[이덕일사랑] 문(文)·사(史)·철(哲) 문(文)·사(史)·철(哲) 문학과 역사와 철학을 문사철(文史哲)이라고 통칭한다. 문사(文史)라는 말은 선조들의 용어지만 철학은 아니었다. 철학은 메이지(明治)시대 도쿄 가이세이조(開成所) 교수였던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필로소피(philosophy)를 희철학(希哲學:그리스철학)이라고 번역한 것이 무.. ´˝˚³οο덕일& 정민 2009.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