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 ı ĿØЦЁ УØЧ/´˝˚³οο ı Łονё 朗誦

옷보다 못이 많았다/ 박준

수로보니게 여인 2013. 3. 14. 14:43

박준, 「옷보다 못이 많았다」(낭송 윤광희)

 

 


박준의 「옷보다 못이 많았다」를 배달하며


윤달이라는 말, 쓸쓸하게 예쁘다. 인터넷에서 ‘윤달’을 치고 검색해 보니, 19년에 일곱 번 윤달이 있단다. 어떤 이가 1900년부터 2099년까지의 윤달을 올려놔 훑어봤다. 1월과 12월만 빼고 다 있었다. 계속 계산해 보면 1월과 12월에도 걸리지 않을까 싶어 더 검색해봤다. 1392년 태조 1년이 윤12월이다. 윤1월은 없단다. 여분의 남는 달이라 신이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쉰다는 윤달. 그래서 윤달에 결혼하거나 집을 짓거나 이장(移葬)하거나 이사하는 사람이 많단다.(왜 그런 걸 신 몰래 하는 걸까? ‘동티난다’는 말이 떠오르는데, 그에 대해서도 알아봐야겠다) 시 속의 ‘그해 윤달’인 어느 봄날, 화자는 하루 동안 이삿짐을 몇 차례나 옮긴다. ‘옷보다 못이 많’은 방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의 이삿짐 나르는 일을 온종일 하니 ‘저녁에 밥을 한 주걱 더 먹은’ 게 얹힐 정도로 몸이 지치고 마음도 지친다.

‘옷보다 못이 많은 방’. 옷장도 없이 벽에 친 못에 옷을 걸어 놓고 사는데, 옷가지도 몇 개 안 돼 비어 있는 못들이 많은 살림살이. 선풍기를 고칠 기력도 없고 대신 고쳐줄 사람도 없는, 어쩌면 홀로노인의 단칸방들. 그 가난이 사무쳐 화자는 ‘윤삼월이나 윤사월이면 셋방의 셈법이 양력인 것이 새삼 다행스러웠’다고 쓴웃음을 짓는다. 윤삼월이면 삼월 지나 또 삼월이니 한 달 살고 두 달치 월세를 물 뻔하지 않았나, 싱거운 농담을 해보는 것이다.

그해에도 형편이 피지 못해 ‘새 옷 한 벌 해 입지 않’은 화자. 그러나 자기 아픔이나 힘듦을 구구절절 칭얼칭얼하지 않고, 타인의 애옥살림을 살피다가 ‘오방(五方)이 다 캄캄해’짐을 토로한다. 시인의 가슴에 못을 박은 ‘옷보다 못이 많은 방’들! 그 방들을 순례하고 온 날의 ‘신들이 떠난 봄밤’, 얼마나 텅 비어 있고 쓸쓸한 봄밤인가.  

박준 시를 읽을 때면 시인의 나이를 새삼 떠올려보게 된다. 1983년생인데…… 대체…… 어찌 이다지도 노성(老成)할까……. 이리 의젓하고, 인생의 신맛 쓴맛을 다 본 것처럼 깊고 서럽고……. 소재나 감수성이나, 글쎄……. 내 언니오빠나 이모삼촌 세대 같네.

젊으나 젊은 시인의 이 맛깔스레 폭 삭힌 시집이라니. 1988년, 스물다섯 살 허수경이 세상에 선보인 시집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 생각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