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 ı Łονё 國語

제3부 문법론

수로보니게 여인 2009. 9. 16. 23:22

제3부 문법론

 

개관

문법(文法)은 문장을 만드는 규칙 자체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그 규칙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를 가리키는 때도 있다. ‘규칙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를 강조하기 위해 문법론(文法論)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쓰지만, 어느 것이든 다 같이 ‘grammar'의 뜻을 갖는다.

좁은 의미로 볼 때, 문법론에는 형태론(形態論)과 통사론(統辭論)이 소속된다. 형태론은 형태소와 그 형태소들이 단어를 이루는 분야이며, 통사론은 단어들이 어떻게 구나 문장과 같은 문법단의를 이루는가 하는 규칙들을 다루는 분야이다. 즉, 단어를 경계로 하여 단어 및 그보다 작은 단위를 다루는 분야가 통사론이다. 

형태론은 다시 조어론(造語論)과 굴절론(屈折論)으로 나뉜다. 단어 중에는 어간(語幹)에 어미(語尾)가 결합하여 변형과 변화를 일으키는 것들이 있는데, 이 현상을 굴절이라 하며, 이 굴절을 다루는 한 분야를 굴절론이라고 한다. 그리고 복합(複合)이나 파생(派生)으로 다루는 형태론 분야를 조어론이라고 한다.

 

형태소, 단어, 구, 절, 문장과 같은 언어 단위들은 문법론에서 다루는 중요한 문법단위이다.

이들이 가지는 일반 특성과 국어의 대표적인 문법 현상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법론 1 

들어가기 학습하기 연습문제    

 

** 형태소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이해한다.
** 교체와 이형태 및 기본형에 대해 이해한다.
** 단어의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 단어의 종류에 대해 이해한다. 

 

형태소 : 형태소는 가장 작은 문법 단위, 즉 의미를 가진 최소의 단위이다.
교체[변이] : 형태소가 나타나는 환경에 따라 소리를 바꾸는 것.
이형태 : 형태소가 교체에 의해 소리가 달라진 각각의 모양을 그 형태소의 이형태라 한다.
기본형 : 여러 개의 이형태 가운데 기본이 되는 이형태. 대표형이라고도 함.
단어 : 단어는 그 내부에 휴지도 둘 수 없고, 다른 단어를 끼워 넣을 수도 없는 의미 단위.
어기 : 형태소가 단어를 이룰 때 단어의 중심부가 되는 형태소.
접사 : 형태소가 단어를 이룰 때 단어의 주변부가 되는 형태소.
어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파생어 : 구성 요소의 어느 한쪽이 접사인 어.
복합어 : 어기나 단어끼리 만나 이루어진 어.

    

 

 

 

1. “꽃이 피었다”에서 어휘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는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풀이 : “꽃이 피었다”는 모두 5개의 형태소, 즉 ‘꽃’, ‘이’, ‘피-’, ‘-었-’, ‘-다’로 이루어져 있는데,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것은
‘꽃’과 ‘피-’ 2개이다. ‘이’는 주격조사, ‘-었-’은 과거시제의 선어말어미, ‘-다’는 평서형어미로서 모두 문법적인 의미를 가진다.

 


 문법론 2

 

들어가기 학습하기 연습문제    

 

개요

단어를 그 문법적 성질을 기준으로 하여 나눈 것을 품사라 한다. 품사 분류의 기준으로는 형태, 기능, 의미의 세 가지가 쓰이지만 의미는 이차적인 기준으로 사용된다.
   굴절은 한 단어의 일부가 변화를 하면서 문법적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국어의 굴절은 명사의 굴절, 즉 체언의 조사 변화인 곡용과, 용언의 굴절, 즉 용언의 어미 변화인 활용으로 나뉜다.
   격은 문장에서 하나의 성분이 다른 성분에 대해 가지는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범주인데, 국어에서는 조사에 의해 실현된다. 국어의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조사로 나뉘는데, 격조사는 격을 실현시키는 조사이고, 접속조사는 둘 이상의 체언을 같은 자격으로 접속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조사이며, 보조조사는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이다.
   용언의 굴절을 담당하는 활용어미는 분포와 기능에 의해 나뉜다. 즉 어미가 용언의 맨 끝에 분포
하느냐 그렇지 않느냐, 또 어미로서 한 문장이 끝나느냐 그렇지 않느냐 등에 의해 나뉜다.

 

  ** 품사 분류의 기준에 대해 이해한다.
  ** 각 품사의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 굴절과 문법범주에 대해 이해한다.
  ** 격과 조사에 대해 이해한다.
  ** 어미의 종류에 대해 이해한다.

 

 

  

용어

   품사 : 단어를 문법적 성질에 따라 나눈 갈래.

   굴절 : 단어의 일부가 변화하면서 문법적 기능이 달라지는 것.

   문법범주 : 의미적으로 구분되는 범주가 일정한 문법적인 장치에 의해 구분될 때 그러한 범부를 문법범주라 한다.

   격조사 : 문장에서 하나의 성분이 다른 성분에 대해 가지는 관계를 나타내 주는 조사.

   접속조사 : 둘 이상의 체언을 같은 자격으로 연결시켜 주는 조사.

   보조조사 : 어느 한 격을 담당하지 않고, 체언에 결합해서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조사. 부사나 용언의 활용형 뒤에도 결합된다.

   선어말어미 : 어말어미 앞에 오는 어미.

   어말어미 : 단어의 맨 뒤에 오는 어미.

   종결어미 : 한 문장이 끝남을 나타내는 어미.

   연결어미 : 선행문과 후행문을 접속시키는 일을 하는 어미.

   전성어미 : 한 문장을 다른 문장에 안기게 하여 하나의 단어처럼 기능하도록 하는 어미.

   
 1. 다음 중 기능상 같은 것으로 묶인 것이 아닌 것

    1) 명사, 수사
    2) 관형사, 부사
    3) 감탄사, 조사
    4) 동사, 형용사

풀이 : 기능을 기준으로 단어를 나누었을 때, 명사와 수사는 체언, 관형사와 부사는 수식언, 감탄사는 독립언, 조사는 관계언,
동사와 형용사는 용언이 된다.

 


 

문법론 3

들어가기 학습하기 연습문제    
   

 

개요

   보다 작은 문법 단위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보다 큰 문법 단위를 구성이라 하는데, 대표적인 구성에는 구, 절, 문장이 있다. 직접구성요소는 어떤 구성을 둘로 쪼갰을 때 그 하나하나를 가리킨다. 직접구성요소 분석은 어떤 구성의 구조를 바르게 인식하는 가장 기초적인 절차이며, 두 개 이상의 뜻을 가진 구성을 해명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시제는 어떤 기준시를 중심으로 사건, 행위, 상태 등의 앞뒤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문법범주이다.
국어의 시제에는 과거, 현재, 미래시제가 있는데, 미래시제 형태소는 양태적인 의미도 함께 나타낸다.
경어법은 화자가 주체, 객체, 청자를 대접하는 문법범주이기 때문에 그 대상이 누구인가에 따라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으로 구분된다.
  
문장을 확대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내포와 접속을 들 수 있다. 내포는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포함되는 현상이고, 접속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문장이 대등한 관계로 연결되어 보다 큰 문장이 되는 것을 말한다.

 

   ** 구성의 개념과 대표적인 구성에 대해 이해한다.

   ** 직접구성요소에 대해 이해한다.

   ** 각 시제의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에 대해 이해한다.

   ** 내포와 접속에 대해 이해한다.

                                                          
 

용어

  주체경어법 : 대우의 대상이 한 문장의 주어인 경어법 
  구성 : 보다 작은 문법 단위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보다 큰 문법 단위. 

  구 :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주어와 서술어의 구성이 아닌 언어 형식.

  절 : 주어와 서술어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지만, 그 자체로는 독립된 문장으로 기능하지 못 하고 다른 문장에 안기어서 그 문장의

        일부로 기능하는 언어 형식.       

  객체경어법 : 문장의 객체, 즉 목적어나 부사어로 실현되는 인물을 높이는 경어법.  

  상대시제 : 발화시 이외의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시제.  
  내포 :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포함되는 현상.

  접속 : 둘 또는 그 이상의 문장이 대등한 관계로 연결되어 보다 큰 문장이 되는 것. 

  상대경어법 : 화자가 청자를 높여서 대접하는 경어법.

  절대시제 : 발화시가 기준이 되는 시제.

  직접구성요소 : 어떤 구성을 둘로 쪼갰을 때 그 하나하나를 가리킨다.

 

 1. ‘푸른 가을 하늘’의 직접구성요소를 바르게 지적한 것은

   1) ‘푸른’, ‘가을’, ‘하늘’이다.
   2) ‘푸른’과 ‘가을 하늘’이다.
   3)‘푸른 가을’과 ‘하늘’이다.
   4)‘푸른 하늘’과 ‘가을’이다.

풀이 : 직접구성요소는 어떤 구성을 둘로 쪼갰을 때 그 하나하나를 가리키는 것이다. ‘푸른’이 ‘가을 하늘’을 수식하는 것이므로
직접구성요소는 ‘푸른’과 ‘가을 하늘’이 된다.


 
 
                                                                                  영어사전홈   

      

                                                                         Write It Down Make I Happen 

   

'´˝˚³οο ı Łονё 國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부 국어사  (0) 2009.09.20
제4부 의미론  (0) 2009.09.20
제2부 음운론   (0) 2009.09.13
제1부 국어와 국어학  (0) 2009.09.11
한국한문학의 이해와 역사   (0) 2009.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