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은 주로 선현들의 교훈이 담긴 단문들로서 <계선(繼善)>․<천명(天命)>․<순명(順命)>․<효행(孝行)>․<정기(正己)>등 총 20편으로 되어 있다.
《명심보감》의 원본은 중국 명(明)나라 사람 범 입본(范立本)의 편저로 근년(近年)에 밝혀졌으나 종래 우리나라에서는 고려(高麗)때 추적(秋適)이 엮은 것으로 알려진 초략본(抄略本)이 널리 읽혔었다. 초략본에는 존신편(存信)편이 없는 반면, 원본에 없는 <증보(增補)>․<팔반가(八反歌)>․<효행(孝行)>․<염의(廉義)>라고 제목이 붙여진 글이 권말(卷末)에 추가되어 있다. 이것은 아마 초략본의 편저자가 보충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그 내용은 우리나라의 사례에서 뽑은 것이란 점이 원본과 다르다.
본문
景行錄에 云:「木有所養이면 則根本固而枝葉茂하여 棟梁之材成하고 水有所養이면
則泉源壯而流派長하여 灌漑之利博하고 人有所養이면 則志氣大而識見明하여 忠義之
士出하나니 可不養哉아?」
1. 景行錄云: 木有所養則根本固而枝葉茂, 棟樑之材成。《경행록》에 말했다. 나무는 잘 기르면 뿌리가 튼튼하고 가지와 잎사귀가 무성하여 기둥이나 대들보 의 재목이 이루어진다.
景行錄: 책 이름. 송(宋)나라 때에 간행된 책으로, 주로 착한 행실이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에는 전하지 않는다.
木有所養: 나무는 기른 바가 있으면. 즉 ‘나무를 잘 가꾸어 기르면’의 뜻.
~則: ~하면
根木固: 뿌리가 단단하다, 튼튼하다.
枝葉茂: 가지와 잎이 무성하다. 뿌리가 튼튼하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아 무성할 수 있는 것임.
棟樑之材成: 기둥과 대들보로 쓸 수 있는 재목이 이루어진다.
2. 水有所養, 則泉源壯而流派長, 灌漑之利博。물은 잘 관리하면 샘의 근원이 힘차고 흐르는 물줄기가 길어서 관개(灌漑)의 이익이 넓다.
水有所養: 물은 기르는 바가 있으면. 즉, ‘물을 잘 다스려 관리하면’의 뜻.
泉源壯: 샘의 근원이 왕성하다, 힘차다.
流派長: 흘러 내려가는 물줄기가 길다.
灌漑之利博: 물을 대는 이익이 넓다. ‘灌漑’는 농작물 재배를 위해 물을 대는 일.
3. 人有所養, 則志氣大而識見明, 忠義之士出, 可不養哉? 사람은 잘 가르쳐 기르면 의자와 기개가 크고 식견이 밝아 충의로운 인사가 배출되니, 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人有所養: 사람은 기르는 바가 있으면, 즉 ‘사람을 잘 가르쳐 기르면’의 뜻.
志氣大: 의지와 기개가 웅대하다.
識見明: 학식과 견문이 명철하다.
忠義之士: 국가에 충성스럽고 의로운 인사.
可不養哉: 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可’는 ~할 수 있다. ‘哉’는 반어형 구말어 기사.
孔子三計圖에 云:「一生之計는 在於幼하고 一年之計는 在於春하고 一日之計는 在於
寅이니 幼而不學이면 老無所知요 春若不耕이면 秋無所望이요 寅若不起면 日無所辦이니라.
4. 孔子三計圖云: 一生之計, 在於幼; 一年之計, 在於春; 一日之計, 在於寅。 공자의 삼계도에 말했다. 한 평생의 계획은 어릴 때에 있고, 일 년의 계획은 몸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다.
孔子三計圖: 일생, 일 년, 하루의 세 가지 계획. ‘計圖’는 ‘계략(計略)’의 뜻.
在於~: ~에 있다.
寅: 인시(寅時). 즉 오전 3시~5시 사이의 시간.
5. 幼而不學, 老無所知; 春若不耕, 秋無所望; 寅若不起, 日無所辨。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것이 없고, 봄에 만약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바가 없고, 새벽에 만약 일어나지 않으면 하루 동안 할 일이 없다.
若: 만약
耕: 밭을 갈다, 농사짓다.
辦: 처리하다, 일하다, 노력하다.
子曰:「與好人交者는 如蘭蕙之香하여 一家種之면 兩家皆香이요 與惡人交者는 如抱
子上墻하여 一人이 失脚하면 兩人遭殃이니라.」
6. 子曰: 與好人交者, 如蘭蕙之香, 一家種之, 兩家皆香。공자는 말했다. 좋은 사람과 사귀는 사람은 난초․혜초의 향기와 같아서 한 집이 그것을 심으면 두 집이 모두 향기롭다.
子曰: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子’는 공자를 지칭함.
與好人交者: 좋은 사람과 더불어 사귀는 사람. ‘與’는 더불어. 함께. 같이.
蘭蕙之香: 난초와 혜초의 향기. ‘蕙’는 난초의 일종으로 한 줄기에 여 러 개의 꽃송이가 달리며 보통의 난초보다 향기가 강함.
種之: 심다. 그것을 심다. ‘之’는 난초와 혜초를 가리킴.
2. 與惡人交者, 如抱子上墻, 一人失脚, 兩人遭殃。나쁜 사람과 사귀는 사람은 아들을 안고 담장에 오르는 것 같아서 한 사람이 발을 잘못 디디면 두 사람이 재앙을 맞게 된다.
抱子上墻: 아들을 안고 담장에 오르다. ‘上’은 오르다. ‘墻’은 담장.
失脚: 발을 잘못 디디다. 발을 헛디디다.
遭殃: 재앙을 만나다. 화를 맞게 되다.
문법
'與'자의 용법
1. 전치사로 쓰일 경우
與越人水戰, 大敗越人. <莊子>
2. 접속사로 쓰일 경우
客亦知夫水與月乎? <前赤壁賦>
3. 구말어기사로 쓰일 경우
管仲非仁者與? <論語>
‘所’자의 용법
1. 동사나 동사구와 결합하는 경우
君子於其所不知, 蓋闕如也. <論語>
2. ‘所~~~者’ 용법
孟嘗君曰, 視吾家所寡有者. <戰國策>
실전
1. 다음 ( )안에 들어갈 한자어로 짝지어진 것은?
一生之計, 在於(幼); 一年之計, 在於(春); 一日之計, 在於(寅)。
① 春, 幼, 寅.
② 幼, 春, 寅
③ 寅, 春, 幼.
④ 老, 香, 忠
2. 水有所養, 則泉源壯而流派長, (灌漑)之利博。
① 關係
② 灌槪
③ 灌計.
④ 灌漑
3. (如)好人交者, (與)蘭蕙之香, 一家種之, 兩家皆香。
① ㉠ 如 ㉡ 與
② ㉠ 爲 ㉡ 如
③ ㉠ 與 ㉡ 如
④ ㉠ 比 ㉡ 爲
'´˝˚³οο ı Łονё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강/忠孝爲本 (0) | 2009.03.31 |
---|---|
1강/人之安宅 (0) | 2009.03.31 |
행림(杏林) (0) | 2009.02.02 |
匹夫之勇(필부지용) (0) | 2009.01.03 |
痴人說夢(치인설몽) (0) | 200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