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ЙaрруÐaуο/´˝˚³οοㅎЙㅍЙ 文學

고려시대의 문학(3)/조신전

수로보니게 여인 2008. 12. 5. 16:48

 

  고려시대의 문학(3)/조신전


    깨달음의 과정과 작품 형식의 관계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보자


「구운몽」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남해 유배시절에 어머니 윤 씨 부인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지었다고 전해지는 우리나라 양반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유교, 도교, 불교 등 한국인의 사상적 기반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불교의 공(空)사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성진이라는 불제자가 하룻밤의 꿈속에서 온갖 부귀영화를 맛보고 깨어나, 인간의 부귀영화는 일장춘몽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껴 불법에 귀의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구운몽(九雲夢) /고전문학 목록 / 신화.설화 모음 / main page /

   

김만중

<구운몽>을 기리켜 '조선조 고대 소설의 양식을 완성한 작품'이라고 한다. 구성의 면에서도 그렇고, 유불선의 사상이 조화를 이룬 내용의 면에서도 그렇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조선조 사회에서 선비들이 추구했던 현실적 부귀 영화의 전모가 무엇인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도 주목되는 작품이다.

/ 구운몽 본문 읽기 / 팔선녀도 구경하기 / 팔선녀는 어떤 여자로 태어났나? / 몽자류 소설이란? /

 

  줄거리

중국의 오악 가운데 남악 형산이 수려하고 깊은데, 진나라 때부터 선녀 위부인이 도를 깨쳐 선동과 옥녀를 데리고 이 산을 지켜왔다. 당나라 때 서역 천축국에서 온 고승 육관대사(육여화상)가 여기에 법당을 열고 제자를 키우는데, 성진이 가장 총명하고 용모가 준수하다.
  동정 용왕이 대사의 강론을 들으니, 성진이 사례하러 용궁에 갔다가 술을 마시고 돌아오던 중, 대사를 뵙고 돌아가는 길에 연화봉에서 노는 위부인의 팔선녀를 만나 수작한다. 절에 돌아온 성진이 불도에 회의를 품고 선녀를 그리다가 대사의 꾸지람을 듣고 풍도(지옥)으로 끌려가니, 팔선녀도 끌려와 각각 흩어져 인간으로 태어난다.
  성진은 당나라 회남도 수주현에 양처사의 외아들 양 소유로 태어나는데, 아버지 양처사는 본디 신선으로 곧 집을 떠나니 소유는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다. 총명하고 풍채가 비범하며 글과 글씨는 물론 육도삼략에 무술도 뛰어나 나이 십 오세에 과거를 보러 떠난다.
  장안 근처에서 버들가지를 보고 <양류사>를 지어 진 채봉과 만나 홋날을 기약하나, 다음날 난리가 나서 양 소유는 산으로 피했다가 도사에게 거문고와 퉁소를 배우고 내려 오니, 채봉의 아버지는 역적으로 몰려 죽었고 채봉은 죽거나 노비로 끌려갔다는 말을 듣는다.
  한 해 연기된 과거를 보러 다시 가다가, 낙양에서 풍류 잔치에 끼어 글 솜씨 내기에 이기어 명창 기생 계 섬월(계랑)과 인연을 맺는다. 장안에 도착, 외삼촌의 말을 따라 명문 재상 정사도의 딸 정 경패에게 여장하여 접근, 거문고로 자신의 마음을 알리니 정사도 내외의 마음이 움직인다. 회시와 전시에 모두 장원으로 급제한 양 소유는 한림이 되어 정사도 집에 통혼, 납채를 보내고 자주 드나든다. 여장에 속은 정소저(정경패)가 양 한림을 흠모하는 정사도의 양녀 춘운을 귀신으로 변장 시켜 인연을 맺게 한다.
  양한림이 강성해진 조,위 두 나라를 조서를 지어 항복시키고, 연나라를 평정하려고 출전하여 항복받고 돌아오는 길에 계 섬월을 다시 만나고 양 한림을 흠모하는 적 경홍도 만난다. 천자가 양한림을 공주 소화(퉁소를 잘함)의 배필로 삼으려 하니, 정소저로 인해 계속 거절하다 옥에 갇힌다. 이 때 토번이 쳐들어와 양 한림이 출전하는데, 자객으로 온 심 요연을 만나고, 독물을 마신 군사를 구하려고 용궁에 갔다가 용녀 백 능파의 배필이 된다. 용궁에서 돌아오던 길에 남악의 육관대사를 본다. 토번을 물리치고 돌아올 때, 정소저 문제로 고심하던 소화 공주는 변장하여 정소저를 궁중으로 불러 재주와 재색을 천자와 태후에게 보여 의형제를 맺으니, 소화는 영양공주, 정소저는 난양공주가 된다. 양한림이 돌아와 승상에 오르고 두 공주를 정실로, 춘운을 부실로, 또 궁중에 들어와 궁녀가 된 진 채봉을 숙인으로 맞는다.
  고향으로 모친을 모시러 가는 길에 경홍과 섬월을 만나, 모친과 함께 궁중으로 데려와 궁중 기악을 맡겨 기녀를 교육시킨다. 풍류를 좋아하는 월왕이 내기를 걸자, 양승상은 사냥 솜씨를 보이고 기녀들과 경홍, 섬월이 풍류를 겨루는데, 백 능파와 심 요연이 합세하여 비파와 칼춤을 보인다. 능파와 요연도 첩으로 궁중에 들어온다.
  계속되는 태평 성대 속에서 두 공주와 여섯 첩들은 서로 의가 좋아 의형제를 맺고,이들에게서 여섯 아들과 두 딸을 얻는다. 양 소유는 온갖 부귀 영화를 누리다가 나이가 들자 벼슬을 버리고 여덟 부인과 한가롭게 지내다가 불도에 귀의하려는데, 노승(육관대사)이 나타나 꿈을 깨라는 말을 들으니, 어느새 중의 모습으로 암자의 포단 위에 앉아 있다. 속세의 부귀 영화에 연연해 하는 자신을 꿈으로 깨우쳐 준 대사에게 감사해 하는데 팔 선녀가 찾아와 불도에 귀의한다. 성진에게 모든 것을 맡긴 대사는 서역으로 떠나고 성진과 팔 선녀는 도를 닦아 극락 세계로 간다.


내용 정리
    
갈래 : 국문소설, 염정소설, 몽자류 소설, 양반소설, 적강소설, 영웅소설
        판본 : 한문본, 국문본
        배경 : 시간 - 당나라 때, 공간 - 중국 남악 형산의 연화봉과 중국 일대 (꿈)
        시점 :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 창작 동기
               -개인적 동기 : 노모(老母)를 위로하기 위해 창작.
               -문학적 동기 : 한국인은 한국어로 작품을 써야 한다는 '국민문학론'을 내세움
        연대 : 숙종 15년(1689) 남해 유배시(당년 53세 작)
        사상 : 유.불.선 사상이 혼합
        근원설화 : <조신몽>설화
        아류작 : 옥루몽, 옥련몽
        구성 : 액자식 구성/ 현실 세계 → 환몽 세계 → 현실 복귀
        주제 :
인생무상과 불법 귀의 (불교의 공(空)사상 중심)


사상적 배경
       1) 유교적 바탕 - 입신양명, 부귀공명 (당시 양반 사회의 이상적 인생관) 
       2)
도교적 바탕 - 작품의 비현실적 내용을 이루는 신선 사상
       3)
불교적 바탕 - 핵심적 주제를 이루는 사상


구운몽의 중심 사상은 공(空)사상을 바탕으로 한 불교사상이다. 그러나 「구운몽」에는 불교 사상만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니다.
성진이 인간계에서 양소유로 살아가는 모습은 철저하게 유교적 질서를 좇고 있다. 양소유가 성취하는 입신양명의 과정과 양소유와 8선녀들의 관계가 일부다처제로 결정되고, 일부종사하는 여성들의 모습 등에서 이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양소유가 현실세계에서 추구하는 이상의 모습은 당시 양반세계의 이상적인 모습이었다.
이와 더불어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인
8선녀와 동정 용왕 등은 도교에서 등장하는 신선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교의 영향 역시 무시할 수 없다.
 
구운몽 이해하기
  김만중이 남해에 귀양 갔을 때 귀양지에서 어머니 윤 씨 부인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지었다고 전해진다.
  
「구운몽」의 주제는 대승불교의 중심인 금강경의 공사상에 있다. 주인공 성진이 술을 마시고 팔선녀를 만나 불법에 회의를 느끼다가 꿈을 꾸고는 팔선녀와 함께 본성을 깨우치고 극락세계에 돌아가는 내용이다.
  그 과정으로 꾼 꿈이 이 작품의 현실에서의 부귀영화이다. 성진은 팔선녀와 함께 지옥으로 떨어졌다가 양소유로 환생한다. 15세에 과거를 보러 경사로 가던 중에 진채봉을 만나 서로 혼약하고 그 뒤부터 우여곡절을 겪어 2처 6첩을 거느리고 일가 화락한 가운데 부귀공명을 누리며 살아간다. 생일을 맞아 종남산에 올라가 가무를 즐기던 양소유는 역대 영웅들의 황폐한 무덤을 보고 문득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꿈에서 깨어난다. 육관대사 앞에서 전죄를 뉘우치고 팔선녀와 함께 가르침을 받아 대도를 얻어 극락왕생한다.
  <구운몽>은 현실-꿈-현실로 바뀌는 과정이나 양소유가 8명의 여인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을 묘미 있게 꾸며 독자를 사로잡았다. 또한, 8명의 여인이 각기 개성을 갖추도록 배려를 하면서, 작품에 등장하는 환경, 인물, 심리를 우아하고 품위 있는 문체를 활용하여 세밀하게 묘사해 놓은 것에서 작가의 뛰어난 창작력을 엿볼 수 있다. 그래서 소설적 흥미를 유지하고, 품격을 높이며, 사상적 깊이를 가지도록 하여 유식한 계층까지도 독자로 끌어들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구운몽」은 이후의 소설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구운몽」자체를 늘리거나 축소하여 개작한 작품이 계속 나왔을 뿐만 아니라, 「구운몽」과 같은 설정을 하면서 다른 사건을 결합시킨 작품들도 대거 등장하였다. 그러므로 「구운몽」은 고대소설 창작에 전형적인 모범을 제시하여 소설사의 획기적인 전환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춘향전>과 더불어 고대소설 중에서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조신전」

       갈래: 설화(서사), 전설

       성격: 사원연기 설화, 환몽 설화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내용: 인생의 세속적 욕망은 한순간의 꿈이요 고통의 근원이니 집착을 버려야 한다.

       구성: 3단 구성, 환몽설화의 전형적 양식, 액자 현태의 환몽구조

       문체: 역어체, 설화체

       주제: 인생의 무상함(세속적 욕망의 덧없음)

       출전: 「삼국유사」권3, ‘탑상(塔像)’

       의의: 환몽소설의 연원이 되는 설화로 후에 김만중의 「구운몽」및 이광수의  「꿈」이라는 소설에 영향을 주었

               다. 동일 모티브에 의한 다양한 변이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조신전」은 일장춘몽인 인생의 허무를 주제로 한 ‘꿈’의 문학으로는 국문학 사상 그 원조이다.

              비록 설화이긴 하나 단편소설이싱의 긴밀한 구성과 압축된 주제를 살렸다. 

「구운몽」과「조신전」의 공통점과 차이점

 

        「구운몽」

  「조신전」

   공통점

            꿈에서 깬 뒤 세속적 욕망의 덧없음을 깨달음

   차이점

 성진은 꿈속에서(양소유) 온갖 세속적   부귀영화를 다 누림

 조신은 꿈속에서 온갖 세속의 고통을   겪음

  온갖 세속적 부귀영화가 영원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잠을 깸

 세속의 고통을 모두 겪고 견딜 수

 없을 지경이 되었을 때 잠을 깸

   구운몽」과「조신전」의 내용은 정반대인데, 인생무상의 깨달음이 같은 이유는 꿈속의 세속적 생활이 고통스럽고 불행했든, 부귀영화를 누리고 행복했든 간에 영원할 수 없고 한결같을 수 없기 때문에 무상한 것이다.

 

 

    글쓰기는 고달픈 현실에서 희망을 발견하고, 

      그것을 다른 이와 공감하기 위해 설득력 있게 제안하는 일            

       

           

                                                사전홈

                              Write It Down Make It Hap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