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시조) “눈은 길의 상처를 안다” / 이민아
무제치늪* 골짜기에 사나흘 내린 눈을
녹도록 기다리다 삽으로 밀어 낸다
사라진 길을 찾으려 한 삽 한 삽 떠낸 눈
걷다가 밟힌 눈은 얼음이 되고 말아
숨소리 들려올까 생땅까지 찧어본다
삽날은 부싯돌 되어 번쩍이는 불꽃들
성글게 기워낸 길 간신히 닿으려나
내밀한 빙판 걷고 먼 설원 헤쳐 가면
삽 끝은 화살 같아져 모서리가 서는데
결빙에 맞서왔던 삽날이 손을 펴고
쩌엉 쩡 회색하늘에 타전하는 모스부호
마침내 도려낸 상처 한 땀 한 땀 기워낸다
.................................................................
*무제치늪 : 울산 울주군 삼동면 정족산(鼎足山)에 자리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고층습원(高層濕原). 6000여 년 전 생성됐으며,
지금도 수많은 습지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심사평] 이근배
땅속 깊이 뿌리박은 나무가 봄을 만나 꽃을 피우듯이 시조는 신춘문예를 만나 새 잎을 틔운다.
시조가 현대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난 지 100년을 맞은 지난해에는 모국어의 가락이 크게 소용돌이쳤다.
그런 까닭일까, 응모작들이 예년에 비해 형식과 내용의 각도에서 날을 세우고 있었다.
신춘문예를 의식한 소재와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 고른 수준을 유지하며
앞서 달려오고 있었으나 의욕과 실험정신을 완성도 높게 채우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또한 시조는 시각적 형식미에서 자유시와 식별시켜야 함에도
의도적으로 구와 장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표기법을 쓰는 유형을 경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시조가 자유시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형식의 파괴가 아니라 내재적 의미의 농축에 힘써야 하고,
글감잡기에서 형상화까지 치밀하게 결구(結構)해야 할 것이다.
당선작 ‘눈은 길의 상처를 안다’(이민아)는 순수한 원형을 지닌 눈이라는 대상에서
상처를 만들고 그것을 도려내는 메스를 잡는 손이 능숙하다.
계절성을 띤 소재이면서 일상에서 끄집어내기 어려운 시의 줄기를 찾아가는 생각이 살아 있다.
명사 ‘삽’을 거듭 쓰는 것과 새 맛내기가 덜한 점이 있으나 발상의 깊이가 있고
감성의 칼끝에 날이 서 있어 시조에 한몫 하리라는 기대를 갖는다.
출처 : 2007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눈은 길의...
글쓴이 : 채련 원글보기
메모 :
수강요지에다, 창작글 지도 받아야지, 일해야지, 책도 봐야지
도무지 신문을 볼 시간이 없어서 신문을 싸워 가며 끊은지 몇개월,
TV 도 안 보는터에 세상사 알리 만무한데
이렇게 좋은 정보와 지도를 겸할 수 있는 게시물을 대할 수 있는 나
^^행 운 녀~~!!!
'—…³οο˚ЙaрруÐaуο > ´˝˚³οοㅎЙㅍЙ 創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치 영상을 보듯 (0) | 2007.03.02 |
---|---|
[스크랩] 시의 제목은 구체적이어야 한다 (0) | 2007.02.27 |
[스크랩] 시는 이성이 아니라 직관/유성이 빚은 꽃 (0) | 2007.02.22 |
[스크랩] 2007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호두, 그 기억의 방 (0) | 2007.02.20 |
[스크랩] 2007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트레이싱 페이퍼 (0) | 2007.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