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암 발생 패턴을 보면 뭘 조심해야 하고 어떻게 검진을 받아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적을 알면 백전백승하는 원리다. 암 발생 지형도(地形圖)는 암 전쟁에서 군사작전 지도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①암의 70%가 '6대 암'에 집중
신규 암환자 10명 중 7명이 위암·갑상선암·대장암·폐암·간암·유방암 등 6대(大) 암에 걸린다. 이는 정기 검진만 제대로 하면, 대다수 암을 조기에 발견해 완치할 수 있다는 뜻이다. 위암·대장암은 내시경, 유방암은 유방촬영술, 갑상선암은 초음파 등으로 암을 일찍 발견할 수 있다.
또 폐암은 금연으로, 간암은 B형간염 백신으로 대부분 예방된다. 가족 중에 폐암이 있거나 장기 흡연자는 폐암 조기발견을 위해 방사선 노출량이 적은 '저선량 CT(컴퓨터 단층촬영)'가 권장된다.
②'전통암' 위암, 1위 고수
1950년대 냉장고가 보편화되면서 서구에서는 위암이 점점 종적을 감추고 있다. 소금에 절이는 음식의 섭취가 줄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위암이 위세를 떨친다. 한 해 신규 위암 환자 2만8000여명으로 전체의 15%를 차지한다.
위암은 짜고, 소금에 절이고, 간장으로 삭힌 음식을 많이 자주 먹으면 발생 위험이 커지는데, 한국인이 이런 음식을 선호하는 탓이다. 한 음식을 여럿이 공유하는 '찌개 문화' 등으로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이 높은 것도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40대 성인의 절반 안팎이 이 균에 감염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