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화로
- 양주동
촌가(村家)의 질화로는 가정(家庭)의 한 필수품(必需品), 한 장식품(裝飾品)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정(情), 그들의 사랑의 용로(熔爐)이었다. 되는대로 만들어진, 흙으로 구운 질화로는, 그 생김생김부터가 그들처럼 단순하고 순박(淳朴)하건마는, 지그시 누르는 넓적한 불돌 아래, 사뭇 온종일 혹은 밤새도록 저 혼자 불을 지니고 보호하는 미덥고 덕성(德性)스러운 것이었다. 갑자기 확확 달았다가 이내 식고 마는 요새의 문화화로(文化火爐)와는 무릇 그 본성(本性)이 다른 것이다.
이 질화로를 두른 정경(情景)은 안방과 사랑이 매우 달랐다. 안방의 질화로는 비록 방 한구석에 있으나, 그 위에 놓인 찌개 그릇은 혹은 '에미네'가 남정을 기다리는 사랑, 혹은 '오마니'가'서당아이'를 고대(苦待)하는 정성과 함께 언제나 따뜻했다. 토장에 무를 썰어서 버무린 찌개나마 거기에는 정이 있고, 말없는 이야기가 있고, 글로 표현하지 못할, 그윽하고 아름답고 정다운 세계가 있었다. 누가 식전(食前)의 방장(方丈)을 말하는가. 누가 수륙(水陸)의 향연(饗宴)을 이르는가. 진실로 행복된 점에 있어서야, 진실로 참된 정에 있어서야, 우리 옛 마을 집집마다 그 안방에 놓였던 질화로의 찌개만 하랴.
마을에서 소년은 '서당아이'라 불리었다. 혹은 사략(史略) 초권(初卷)을 끼고, 혹은 맹자(孟子)를 들고 서당(書堂)엘 다니기 때문이다. 아잇적, 서당에 다닐 때 붙은 서당아이란 이름은, 장가를 들고 아들을 본 뒤까지도 그냥 남아서, 30이 넘어도 그 부모는 서당아이라고 불렀다. 우리집 이웃의 늙은 부부(夫婦)는 늦게야 아들 하나를 얻었는데, 자기네가 목불식정인 것이 철천(徹天)의 한(恨)이 되어서, 아들만은 어떻게 해서든지 글을 시켜 보겠다고, 어려운 살림에도 아들을 서당에 보내고, 노상 '우리 서당 애' '우리 서당 애' 하며 아들 이야기를 했었다. 그의 집 단칸방에 있는 다 깨어진 질화로 위에, 점심 먹으러 돌아오는 예(例)의 서당아이를 기다리는 따뜻한 토장찌개가 놓였음은 물론(勿論)이다. 그 아들이 천자문(千字文)을 읽는데, '질그릇 도(陶) 당국 당(唐)'이라 배운 것을 어찌 된 셈인지 '꼬끼요 도’, 당국 당'이라는 기상천외(奇想天外)의 오독(誤讀)을 하였다. 이것을 들은 늙은 '오마니'가, 알지는 못하나마 하도 괴이(怪異)하여 의의(疑義)를 삽(揷)한즉, 영감이 분연(憤然)히, "여보 할멈, 알지도 못하면서 공연히 쓸데없는 소리 마소. 글에 별소리가 다 있는데, '꼬끼요 도'는 없을라고."하였다. 이렇게 단연(斷料)히 서당아이를 변호(辯護)한 것도 바로 질화로의 찌개 그릇을 둘러앉아서였다. 얼마나 인정미(人情美) 넘치는 태고연(太古然)한 풍경(風景)이냐.
사랑에 놓인 또 하나의 질화로는 이와는 좀 다른 풍경을 보이었다. 머슴, 소배(少輩)들이 모인 곳이면, 신 삼기, 둥우리 만들기에 질화로를 에워싸 한창 분주(奔走)하지마는, 팔씨름이라도 벌어지는 때에는 쌍방(雙方)이 엎디어 서로 버티는 서슬에 화로를 발로 차 온 방안에 재를 쏟아놓기가 일쑤요, 노인들이 모인 곳이면, 고담 책(古談)보기, 시절(時節) 이야기, 동네 젊은 애들 버릇없어져 간다는 이야기들이 이 질화로를 둘러서 일어나는 일이거니와, 노인들의 입김이 적어서 꺼지기 쉬운 장죽(長竹)은 연해 화로의 불돌 밑을 번갈아 찾아갔었다. 그리하여, 기나긴 겨울밤은 어느덧 밝을 녘이 되는 것이다.
돌이켜 우리 집은 어떠했던가? 나도 5,6세 때에는 서당아이였고, 따라서 질화로 위에는 나를 기다리는 어머니의 찌개 그릇이 있었고, 사랑에서는 밤마다 아버지의 담뱃대 터시는 소리와 고서(古書) 읽으시는 소리가 화로를 둘러 끊임없이 들렸었다. 그러나 내가 다섯 살 되던 해에 그 소리는 사랑에서 그쳤고, 따라서 바깥 화로는 필요가 없어졌고, 하나 남은 안방의 화로 곁에서 어머니는 나에게 대학(大學)을 구수(口授)하시게 되었다. 그러나 어머니마저 내가 열두 살 되던 해에 그 질화로 옆을 길이 떠나가시었다. 그리하여 서당아이는 완전한 고아(孤兒)가 되어, 신식(新式) 글을 배우러 옛 마을을 떠나 동서(東西)로 표박(漂泊)하게 되었고, 화로는 또다시 찾을 수 없는 어머니의 사랑과 함께 영영 잃어버리고 말았다. 질화로의 찌개 그릇과 또 하나 질화로에 깊이 묻히던 장죽, 노변(爐邊)의 추억(追憶)은 20년 전이 바로 어제와 같다.
*목불식정-글자를 한 자도 모를 정도로 무식함
*의의를 삽한즉-의문을 제기하니
*고담 책-옛날 이야기책
*구수-학문이나 지식 따위를 말로 전하거나 가르쳐 줌
*표박-일정한 주거나 생업이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
*주제-질화로에 대한 추억과 정감
이해와 감상
이 글은 질화로와 관련된 세 가지 이야기를 통해서 질화로를 통해서 느끼는 정감을 드러내고 있다.
첫 번째 이야기에서는 늦둥이를 얻은 부부가 자신의 아이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따뜻한 애정을 질화로를 통해서 드러내고 있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질화로를 에워싼 머슴들의 놀이와 노인들의 모습을 정감 있게 드러내고 있다.
세 번째 이야기에서는 필자가 질화로와 관련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추억을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