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 ı Łονё 漢文

指鹿爲馬 (지록위마)

수로보니게 여인 2008. 2. 14. 01:40

                                                                                                                                       2007/07/09  

   

 

 

指鹿爲馬    

                                             
指鹿爲馬 : 胡亥曰 "誤也라. 謂鹿爲馬로다." 問左右한대 左右가 或默이요, 或言馬러라.

지록위마   호해왈  오야    위록위마          문좌우      좌우    혹묵       혹언마

                                                                                                 - 사기(史記)

 

胡亥 : 진(秦)나라 시황제 후궁의 소생으로 태자 부소를 대신해서 황제의 자리에 오른 이세황제(二世皇帝)

 좌우 : 임금 가까이에서 임금을 모시는 신하/ 或 :어떤 사람

 

** 호해는 말했다. "틀렸다. 사슴을 일러 말이라고 하는 구나." 하고 옆에 있던 이들에게 묻자,

     어떤 사람은 말하지 않고, 어떤 사람은 '말'이라고 말했다.

 

진(秦)나라 시황제가 죽자 측근 환관인 조고(趙高 : ? ~B. C.208)는 거짓 조서(詔書) 를 꾸며 태자 부소(扶蘇)를 죽이고 어린 호해(胡亥)를 세워 2세 황제로 삼았다. 현명한 부소보다 용렬한 호해가 다루기 쉬웠기 때문이다.

호해는 "천하의 모든 쾌락을 마음껏 즐기며 살겠다." 라고 말했을 정도로 어리석었다고 한다. 

조고는 이 어리석은 호해를 교묘히 조종하여 경쟁자인 승상 이사(李斯)를 비롯, 그 밖의 많은 舊臣들을 죽이고 승상이 되어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그러자 역심이 생긴 조고는 중신들 가운데 자기를 반대하는 사람을 가려내기 위해 호해에게 사슴을 바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폐하, 말[馬] 을 바치오니 거두어 주시오소서."

   "승상은 농담도 잘 하시오. '사슴을 가지고 말이라고 하다니[指鹿爲馬]' 어떻소?

    그대들 눈에도 말로 보이오?"

말을 마치자 호해는 웃으며 좌우의 신하들을 둘러보았다. 잠자코 있는 사람보다 '그렇다.' 라고 긍정하는 사람이 많았으나 '아니다.' 라고 부정하는 사람도 있었다. 조고는 부정하는 사람을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죄를 씌워 죽여 버렸다. 그 후, 궁중에는 조고의 말에 반대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었다고 한다.

 

                                                                                          - [세설신어(世設新語)]

                                                                                                                                      

                                                                                                                                 

                            Write It Down Make It Happen    

 

'´˝˚³οο ı Łονё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雄鷄斷尾(웅계단미)  (0) 2008.02.14
塞翁之馬(새옹지마)  (0) 2008.02.14
刻舟求劍(각주구검)  (0) 2008.02.14
伴食宰相(반식재상)  (0) 2008.02.14
긴 이야기, 짧은 成語 (1)  (0) 2008.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