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본질/문학의 특성2
문학과 삶, 驛馬
문학은 언어 예술일 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우리 인간의 삶을 소재로 한다.
인간이 세계를 해석하는 방식은 언어를 통해 드러나며, 나아가 문학적인 형상화를 통해 좀 더 긴밀하고 생동감
있게 표상된다. 그러므로 문학 작품을 읽을 때에는 주체의 세계에 대한 대응 방식이 어떠한지, 삶에 대한 어떠
한 의식을 담고 있는지, 역사적・철학적 주제를 어떻게 형상화 하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 「역마(역마)」는 세계
에 대한 주체의 대응 방식이 선명하게 형상화 된 작품이다.
※문학은 인간의 가치 있는 체험을 소재로 한다.
문학 작품은 작가의 경험을 일정한 양식의 글로 옮긴 것이다. 이 때 작가의 모든 경험이 문학 작품의 재료가 되
는 것은 아니다. 작가가 경험한 것 중에서도 가치 있는 경험만이 소재가 된다.
** 문학과 현실의 비교
문학: 허구, 언어로 표현되고, 긴밀하게 압축되며, 구체적으로 드러남.
현실: 사실, 있는 그대로임, 평범하고 산만함, 추상적임.
※문학은 개연성(蓋然性)을 지닌 허구(虛構)이다.
문학은 삶의 기록이다. 그렇지만 삶을 그대로 기록하지는 않는다. 삶을 그대로 기록하는 것은 역사이다.
역사는 일정한 기준에 의해 현실을 사실적이고 객관적으로 기록하지만 문학은 현실을 허구화하여 기술한다.
역사가 기록하는 작업이라면 문학은 창조적 작업이다.
문학의 현실은 실재 현실이 아니라 거울에 비친 현실이다. 거울에 비친 ‘나’의 모습은 나를 닮기는 했지만
‘나’가 아닌 것처럼 문학의 현실은 현실에서 일어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지만 일어난 것은 아닌 것이다.
다만, 작가가 현실을 보고 만들어 낸 창조된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문학을 개연성 있는 허구라고 한다.
虛構性: 실제 인생에서 소재를 취하지만, 작가가 상상력에 의해 새롭게 꾸며낸 이야기다.
자연과 인생을 반영한 가공적(가공적) 사실이다.
문학의 교시적(교시적) 기능: 문학은 독자에게 교훈을 주고, 인생의 진실을 보여주어 삶의 의미를 깨닫게.
※문학은 우리에게 깨우침을 주는 거울이다.
문학은 실재 삶의 모습을 모두 담아내지는 않는다. 일부분만 담아내는 것이다. 그 일부분이 가치 있는 체험이
며 그 체험은 독자에게 깨우침을 준다. 우리의 문제가 무엇인지, 우리 사회의 문제가 무엇인지, 우리가 올바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역마(역마)
작가: 김동리(1913~ 1995)
갈래: 단편 소설, 숨수 소설
성격: 운명적, 토속적
배경: 전라도, 경상도 접경 지역(화개장터)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 작가가 만들어 낸 허구(虛構)
인물: (?여자)+남사당패 우두머리(체 장수 영감)+주막집 홀어머니
작가가 사건에 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인물의 관계를 의도적으로 만들었다.
이모와 조카의의 사랑, 둘의 친족 관계를 서로 말하지 않게 함으로써 사랑하게 만들고, 또 결국 말하
게 함으로써 헤어지게 만들어 놓은 것이다.
사건: 이모와 조카의 사랑과 운명적 이별
배경: 주막집, 세 갈래 길
어디에나 있는 배경이지만 이 소설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장소이다. 주막은 떠돌이들이 모여 잠간 머
물렀다 가는 곳으로 여기에서 하는 사랑은 일회적이다. 그런데 계연과 성기는 영원한 사랑을 꿈꾸었으
니 이를 거부한 것이다(이들의 운명은 영원한 사랑을 할 수 없는 것).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세 갈래
길을 제시한 것이다. 마지막에 하동 쪽으로 가게 된 성기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삶(역마살이 r낀)을 그
대로 물려받게 된다(운명에 순응). 이처럼 작가는 인물, 사건, 배경을 잘 버무려서 하나의 구조를 만들
어낸다. 바로 허구이다.
※독자에게: ‘운명에 순응하는 삶이 편안한 삶’임을 제시한다.
운명에 순응하면 나약한 삶이고 운명에 대결하면 강인한 삶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끝까지 대결해야하는 삶이 있는 반면, 적절하게 순응해야 하는 삶도 있는 것이다.
아프지만 헤어져야하는 것이 운명이라면 그것에 순응하고 주어진 삶을 보다 값지게 보람 있게 사는
삶이라면, 성기처럼 육자배기를 흥얼거릴 수 있으리라.
========================================================================================
문학의 특성 3
문학의 구조, 심청전
1. 문학 작품은 외적형식과, 내적형식을 갖추고 있다.
2. 인지적 요소: 문학 작품에는 여러 가지 지식 관련 내용(지식)들이 담겨있다.
** 외국작품/ 음식, 의복, 그들의 사고방식 등을 알 수 있으며
** 고전작품/ 조상들의 의식주, 사고방식 등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이 인지적 요소이다.
3. 정의적 요소: 문학은 개인과 집단의 세계관에 관련된 내용들을 다룬다.
4. 심미적 요소: 문학 작품은 다른 학문과 구별되는 예술적 형상화 과정을 거친다.
5. 문학 작품은 여러 요소를 질서 있게 배열하여 만든 하나의 구조물이다.
'早紅枾歌(조홍시가)'를 통한 구조 이해
<해동가요, 노계집>
박인로(1561~1642)의 시조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아도 보이나다(소반에 놓인 붉은 감이 곱게도 보이는 구나).
유자(유자) 안이라도 품엄즉도 하다마는(비록 유자가 아니라도 품어갈 마음이 있지마는)
품어 가 반기리 없을 새 글노 설워하나이다
(품어 가도 반가워해 주실 부모님이 안 계시니 그를 서러워 합니다).=> 孝의 대한 가치관
[창작배경] |
'早紅枾歌(조홍시가)'라 이름 하는 이 노래는,
지은이가 선조 34년 9월에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을 찾아가 조홍시를 대접 받았을 때,
회귤(懷橘) 고사(故事)를 생각하고 돌아가신 어버이를 슬퍼하여 지은 효도의 노래이다. |
[이해와 감상] |
작자는 퇴관하여 은일 생활을 존경하여 한음 이덕형 선생을 자주 찾았다.
반가운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소반에 받쳐 내놓은 조홍감을 보자,
불현듯 회귤 고사가 생각나 돌아가신 어머니가 가슴에 떠올랐던 것이다.
이미 돌아가신 어머님을 그리고 생각하는 애절한 심정이 우리의 가슴을 찌르고,
작자의 어버이에 대한 효성심이 눈앞에 생생하게 떠오른다.
한마디로 풍수지탄(風樹之嘆)을 연상하게 하는 노래이다. |
[정리] |
□ 성격 : 평시조, 사친가(思親歌), 조홍시가
평시조의 기본 율격인 4음보와 3‧4조의 율격을 잘 지키고 있다.
□ 표현 : 인용법
□ 주제 : 효심(孝心). 풍수지탄(風樹之嘆)
□ 참고 : 육적의 회귤고사(懷橘故事)
" 삼국 시대 오군(吳郡) 사람 육적(陸績)이 여섯 살 때에 원술(袁術)을 찾아갔더니,
원술이 귤 세 개를 먹으라고 주었는데,
육적이 그것을 품속에 품었다가 일어설 때에 품었던 귤이 방바닥에 떨어졌다.
원술이 그 연유를 물은즉, 어머님께 드리려고 품었다고 대답하더라는 고사인데,
회귤의 고사는 곧 효도를 뜻한다. " |
「심청가」를 통해 문학의 구조 이해하기
1. 인지적 요소: 옛날의 관청과 관직명, 당시 서민들의 여행 모습 들을 알 수 있음(철학적).
2. 정의적 요소: 뺑파의 행동을 통해 부부간의 윤리 문제를 생각해 봄(이데올로기적).
3. 심미적 요소: 뺑파의 심술궂은 행동이 웃음을 자아냄(해학적 요소/예술적 가치).
문학의 구성 요소
시: 운율/ 음악적 요소, 시어에서 느껴지는 말의 가락
심상(이미지)/회화적 요소, 형상화 된 언어에 의해 나타나는 영상 및 느낌
정서와 사상/ 의미적 요소, 시에 표현된 작가의 정서와 사상
소설: 주제/ 작가의 생각이나 사상
구성/ 사건과 사건을 인과 관계에 의해 배열한 것(인물, 사건, 배경)
문체/ 작가가 내용과 주제를 드러내는 개성적 표현 방식
연극: 주제/ 작가의 생각이나 사상
해설/시간적, 공간적 배경, 등장인물, 무대 장치 등을 설명해 주는 부분
지문/ 인물의 동작, 표정, 말투, 입, 퇴장, 조명, 심리 상태등을 지시한 글
대사/ 등장인물이 하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