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사회 핫뉴스

파평 윤씨 '母子 미라' 3차원영상으로 복원

수로보니게 여인 2008. 2. 1. 13:55

 

    

   ▲ 모자(母子) 미라 3차원 의료영상 /고려대 의대 제공  
미라를 CT와 MRI로 찍고 합성한 사진으로 태아 머리 위치가 골반 뼈를 지나 자궁 밖으로 드러나 있다.
                    
400년 전 출산중 사망 ‘모자(母子) 미라’ 3차원 영상 복원

“5~10분만 버텼으면 아기 태어났을 것”


400여 년 전 조선시대에 분만 도중 사망해 산모와 태아가 함께 2002년 미라로 발견된 '파평 윤씨 미라'. 이 모자(母子) 미라를 3차원 첨단 의료영상으로 복원한 결과, '엄마 미라'는 태아 머리가 자궁을 거의 빠져나온 출산 마지막 순간에 자궁 파열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라는 2002년 경기도 파주시 파평 윤씨 정정공파 묘역에서 발견됐다. 여인의 뱃속에서 태아가 발견돼 세계 유일의 '산모·태아 미라'로 화제가 됐었다. 당시 복부(腹部) 부검 과정에서 여인의 자궁 바깥벽에 3~4㎝ 찢어진 상처가 발견돼 분만 중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1~2시간 산통 끝에 자궁파열로 숨져, 요즘엔 분만도구로 쉽게 출산했을 상황”

그 후 고려대의대 병리학 김한겸 교수팀은 최첨단 CT와 MRI로 미라를 촬영한 후 이를 3차원 영상으로 복원해 이번에 미라 사망 당시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히 보여주는 영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영상을 보면 태아의 머리는 산모의 골반 뼈를 통과해 자궁 끝에 걸려 있다. 태아의 몸통은 산모의 오른쪽으로 돌아 있고, 팔과 다리는 잔뜩 웅크리고 있다. 자궁문이 열린 상태에서 태아 머리가 돌출된 것으로 봐서 출산 마지막 단계인 것으로 추정된다.

영상을 분석한 산부인과 김선행 교수는 "5~10분만 더 버텼으면 아기가 태어났을 것"이라며 "요즘에는 이런 상황이라도 진공압력으로 태아를 꺼내는 분만도구인 '배큠(Vacuum)'으로 쉽게 태아를 꺼낸다"고 말했다.

이로써 '파평 윤씨 미라'와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정리해 당시 상황을 재연할 수 있게 됐다. 조선 전기의 세도가 윤원형(尹元衡)의 종손녀로 추정되는 키 153㎝인 20대 여인은 '병인(년) 윤10월', 양력으로는 1566년 12월 출산을 위해 거처를 친정으로 옮겼다. 한겨울 어느 날 진통이 오자 다리를 쪼그려 앉은 자세로 분만을 시도했다(조선시대 분만법). 1~2시간의 극심한 산통 끝에 출산의 마지막 순간에 자궁이 파열되면서 대량 출혈이 발생했다. 산모는 30분 이내에 사망했다. 자궁 파열로 태아를 밀어내는 힘이 사라지자 태아는 그 자리에 머물러 같이 사망했다. 이후 장례 과정에서 추운 겨울 날씨 탓에 시신은 부패되지 않았다. 시신을 안치한 목관 안에 옷을 많이 집어넣어 부패를 촉진하는 관 속의 산소량이 적었다. 목관 바깥에 회를 두른 회곽묘를 썼기 때문에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돼 여인과 태아가 수백 년 동안 미라 형태로 보존된 것으로 추론된다. 현재 미라는 고려대 의대 냉동 보관 실험실에 안치돼 있다.

김한겸 교수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해외 유명 잡지와 외국 학자들이 세계 유일의 '모자 미라'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2008.02.01 05:22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Write It Down Make It Hap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