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다가 맞춤법이 헷갈린다면?
어문 규범과 관련하여 최근 대학생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통계 조사가 있었다. 여러 항목 중 ‘가장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은?’이라는 물음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띄어쓰기’를 꼽았다. ‘되’와 ‘돼’의 구분, 부사의 끝음절에서 ‘-이’와 ‘-히’의 구분이 뒤를 이었다.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 알아보기
띄어쓰기
띄어쓰기는 아래의 간단한 규칙들을 따르면 된다. 그리고 자세한 내용은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를 참고하면 된다.
- ㅇ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그리고 여러 개의 조사 붙어 길어지더라도 모두 그 앞말에 붙여 쓴다.
- - 꽃이 - 거기도 - 여기에서부터 - 작년에까지만도
- ㅇ 의존 명사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 - 아는 것이 힘이다. - 열 개
- ㅇ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 - 불이 꺼져 간다.(원칙) - 불이 꺼져간다.(허용)
- ㅇ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 - 홍길동 - 채영신 씨 - 최치원 선생 - 충무공 이순신 장군
‘되’와 ‘돼’
‘되-’는 ‘되다’의 어간이다. ‘되-’ 뒤에 어미 ‘-어’가 붙어 줄어들면 ‘돼-’로 적는다. ‘되-’ 뒤에 ‘-어’, ‘-었-’과 어울려 줄어든 것이 아니라면 ‘되-’로 적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한글 맞춤법 제35항을 참고하면 된다.
- 그렇게 하면 안 돼(‘되어’의 축약형).
- 저녁이 거의 완성됐(되었)으니 어서 집에 오렴.
‘-이’와 ‘-히’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자세한 내용은 한글 맞춤법 제51항을 참고하면 된다.
- ㅇ ‘이’로만 소리 나는 것 → ‘-이’로 적음.
- - 깨끗이 – 반듯이 – 가까이 – 많이 - 우뚝이
- ㅇ ‘히’로만 소리 나는 것 → ‘-히’로 적음.
- - 극히 - 급히 - 딱히 – 엄격히 - 정확히
- ㅇ ‘이’로도 소리 나고, ‘히’로도 소리 나는 것 → ‘-히’로 적음.
- - 솔직히 – 가만히 - 간편히 - 각별히 - 소홀히
띄어쓰기나 맞춤법이 헷갈릴 때에 사람들은 어떻게 궁금증을 해소하는지 묻는 조사에서는 종합 정보 사이트(포털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국어사전을 이용해 확인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그 외에 ‘종이 사전을 펼쳐 찾는다’, ‘맞춤법을 잘 알거나 알 법한 주위 사람에게 묻는다’, ‘문서 편집기(워드 프로세서)에서 제공하는 맞춤법 검사 기능을 사용한다’ 등의 답변이 있었다.
하지만 가장 정확한 방법은 국립국어원 누리집을 찾는 일이다.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 검색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어문 규범, 어법, 표준국어대사전과 관련해 궁금한 점은 국어생활종합상담실의 온라인 가나다로 직접 물어볼 수 있다.
국어생활종합상담실에는 전화(1599-9979)나 카카오톡(플러스 친구 ‘우리말365’)을 통해서도 질문할 수 있다.
'´˝˚³οο국어 바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글다와 여물다 (2) | 2018.11.02 |
---|---|
‘일체’와 ‘일절’ (0) | 2018.04.13 |
사라져가는 것들(‘집밥’과 ‘혼밥’ 사이) (0) | 2017.09.14 |
햅쌀과 누룽지의 비밀 (0) | 2017.07.12 |
‘혼저 옵서예 (0) | 2017.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