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상식♡시사

[스크랩] 월도천휴여본질(月到千虧餘本質)

수로보니게 여인 2008. 1. 24. 14:14

 

 

                                                                   

      ▲ 조용헌

      월도천휴여본질(月到千虧餘本質)


      겪어보니 병(病)에도 때가 있다. 득병유시(得病有時)요, 치병유시(治病有時)다.

      한편의 시(詩)도 마찬가지다. 득시유시(得詩有時)요, 해시유시(解詩有時)다.

      나는 기업체 회장 사무실이나 유서 깊은 집안을 방문하였을 때

      벽에 걸려 있는 한문 액자나 병풍 글씨의 내용을 유심히 보는 습관이 있다.


      그 사람의 가치관이나 취향이 여기에 나타나는 수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그 내용이 어려워 해석을 못하거나

      출전(出典)을 알지 못해서 당황했던 적도 많다.

      교보문고를 세운 고(故) 신용호 회장을 생전인 7년 전쯤에 처음 만났을 때였다.

      이 양반이 식사 도중에 시(詩) 한 구절을 이야기 했다.

      '동천년노항장곡(桐千年老恒藏曲)이요,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이라'는 구절이었다.

      '오동나무는 천년이 되어도 항상 곡조를 간직하고 있고,

      매화는 일생 동안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 구절을 애송하는 신 회장을 보고 필자는 속으로

      '이 양반이 대단히 자존심이 강한 사람이다'는 사실을 짐작하였다.

      사업하는 사람은 간과 쓸개를 버리고 다녀야 할 텐데 어찌 이렇게 자존심 강한 시를 좋아할까

      하는 의문도 아울러 들었다. 그때는 이 시의 작자나 또는 출전을 몰랐다.

      그러다가 몇 달 후에 어느 한정식 집에 갔을 때 그 집의 병풍에 이 두 구절이 똑같이 쓰여 있었다.

      이 구절이 상당히 유명한 대목이라는 사실을 확인했을 뿐 그 작자가 누구인지,

      나머지 구절이 어떻게 되는지는 몰랐다.


      득시(得詩)는 했지만 해시(解詩)를 못했던 것이다.

      그러다가 우연한 계기에 그 작자와 나머지 구절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작자는 조선조의 상촌(象村) 신흠(申欽·1566~1628)이었다.

      조선시대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일 만큼 심금을 울리는 문장을 썼던 인물이다.

      '월도천휴여본질(月到千虧餘本質), 유경백별우신지(柳經百別又新枝)'가 나머지 두 구절이다.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이 남아 있고,

      버드나무는 100번 꺾여도 새 가지가 올라 온다'는 의미이다.

      백범 김구 선생이 서거 4개월 전에 쓴 휘호가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백범도 좋아했던 내용이 바로 상촌이 지은 이 나머지 두 구절이다.
                           


       2008.01.23 22:48
      조용헌 goat1356@hanmail.net

       

      Copyright ⓒ 조선일보 &Chosun.com


      ♡ 득시유시(得詩有時)요, 해시유시(解詩有時)다.

      ♡ 난 언제쯤 解詩를... ㅜㅜ

       
         

       네가 보고파지면...

            

출처 : 월도천휴여본질(月到千虧餘本質)
글쓴이 : 접시꽃 원글보기
메모 :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라". 

'´˝˚³οο상식♡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통(infidelity)보다 큰 죄는 과식(overeating)  (0) 2008.02.19
다운 시프트(downshifts)족  (0) 2008.02.12
[스크랩] 石油에 대한 명상  (0) 2007.12.14
영화 '色,戒'를 보고  (0) 2007.12.13
히키코모리  (0) 200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