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그으른(?) 피부
구릿빛 피부는 여름휴가를 신나게 보냈다는 징표와도 같다. 산·바다·강 등 야외에서 여름을 즐기다 보면 피부가 그을리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햇빛이나 불, 연기 따위를 오래 쬐어 검게 되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 “검게 그으른 얼굴”에서와 같이 ‘그으르다’라는 말을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으로 ‘그을다’가 원형이며, 이의 피동사는 ‘그을리다’다. 따라서 ‘검게 그은 얼굴 ’ 또는 ‘검게 그을린 얼굴’이라고 해야 한다.
‘그을다’를 과거형으로 표현할 때는 더욱 주의해야 한다. “모자를 안 썼더니 얼굴이 그을렀다”와 같이 ‘그을렀다’라고 쓰기 쉽지만 ‘그을다’의 어간 ‘그을-’에 과거를 나타내는 어미 ‘-었-’을 붙여 ‘그을었다’라고 해야 한다.
‘그을다’에 ‘-은’을 연결시키면 어떻게 될까. ‘그을+은’ 형태로 ‘그을은’이 된다고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이 경우 ‘ㄹ’이 탈락해 ‘그은’이 되므로 “시꺼멓게 그은 팔”과 같이 써야 한다.
‘그을리다’는 피동사(까맣게 그을린 농부들)와 사동사(피부를 너무 그을리지 마라) 양쪽으로 쓰인다. ‘그을리다’의 과거형은 ‘그을렀다’가 아니라 ‘그을렸다’다.
내 희지 않은 피부가
올 여름엔 더 까맣게 그을렸다.
'´˝˚³οο국어 바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히다’와 ‘맞추다’의 쓰임새 (0) | 2012.01.25 |
---|---|
‘마라’와 ‘말라’의 쓰임새 (0) | 2011.12.24 |
잔반(殘飯)과 짬밥 (0) | 2010.05.08 |
바른말 고운 말/ “장본인과 주인공” (0) | 2009.02.02 |
“설렁탕과 육개장” (0) | 2009.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