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강/19세기 시민사회의 전개 ( 이혜령 교수 2007 인터넷보충강의 자료)
1. 다음 중 19세기 서양사회에 대하여 부적합한 설명은? (정답 ④)
① 유럽 여러 나라와 태평양 건너 미국에서 시민사회가 형성되었다.
② 산업화가 각 국가의 사정에 따라 각기 다소 다른 노선으로 진행되었다.
③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전개되면서 혁명을 추구하는 새로운 변화의 물줄기와 그것을 저지하려는 반혁명적인 의지가 서로 충돌하는 격동의 소용돌이가 나타났다.
④ 정치적인 자유화와 사회적인 민주화가 평화롭게 진행되었다.
2. 다음 중 빈체제의 지도적인 인물이라 할 수 없는 사람은? (정답 ③)
①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② 러시아의 알렉산더 1세
③ 이탈리아의 마치니④ 프랑스의 탈레랑
3. 다음 중 빈체제에 대해서 가장 동조적이었던 이데올로기는? (정답 ①)
① 보수주의 ② 자유주의
③ 낭만주의 ④ 민족주의
4. 다음 중 빈체제에 대한 저항으로 보기 힘든 것은? (정답 ②)
① 부르센샤프트 ② 유럽협조체제
③ 12월당(Dekabrist)의 반란 ④ 카르보나리
5. 다음 괄호 속에 들어갈 말로 적합한 것은? (정답 : 먼로 독트린)
에스파냐의 식민지였던 중남미에서는 나폴레옹 전쟁의 시기부터 독립의 움직임을 보였다. 메테르니히는 중남미의 변화까지도 인정하지 않고 무효화시키려 했다. 그러나 미국은 1823년 아메리카의 문제에 유럽이 개입할 수 없음을 천명한 ( )을 발표함으로써 다시 한 번 빈 체제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6. 다음 괄호 속에 공통으로 들어갈 나라는? (정답: 그리스)
일찍이 민족주의와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유럽지식인들이 적극 참여했던 ( ) 독립 운동은 빈 체제를 크게 결렬시켰다. 1821년부터 1829년에 걸쳐 지속되었던 ( ) 독립전쟁은 유럽의 자유주의자와 낭만주의자 및 지식인들의 열띤 호응을 받아 성공하였다. 러시아와 영국 등 유럽 각국은 협조체제와는 무관하게 자국의 국가이성을 추구하면서 ( ) 독립운동을 지원함으로써 빈 체제를 크게 위협했다.
7. 다음 중 1830년에 일어난 7월혁명과 관련하여 잘못된 설명은? (정답 ③)
① 빈체제를 결정적으로 붕괴시켰다.
② 프랑스의 복고왕정을 붕괴시켰다.
③ 폴란드에서는 중·하급 귀족들의 봉기가 농민들의 협력으로 크게 성공하였다.
④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에서는 31년부터 2년간에 걸쳐서 자유주의 내지 민족주의 세력의 주도로 독립운동이 일어나지만 좌절하고 만다.
8. 1848년 2월 혁명을 전후한 유럽 각국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정답 ②)
① 프로이센의 자유주의 및 통일운동은 국왕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② 혁명의 출발지 프랑스에서는 1848년 6월 폭동으로 사회주의 정권이 정착되었다.
③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독립운동 등이 활발히 전개되었으나 반혁명의 바람으로 모두 좌절되었다.
④ 이탈리아당이 주도했던 이탈리아의 민족운동은 물리적 탄압 앞에 무너지고 말았다.
9. 다음 중 19세기 유럽 각국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정답 ④)
① 영국은 산업혁명이 초래한 문제들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가면서 19세기 후반에는 빛나는 빅토리아기를 맞이하고 20세기 초에는 민주적인 복지국가로의 길을 열었다.
② 프랑스는 프랑스대혁명 이후 10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정치적 시련을 경험하면서 공화정을 확립시키게 된다.
③ 독일과 이탈리아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국가적 통합을 이루게 된다.
④ 미국은 남북전쟁 이후 경제적 통합에 실패하여 자본주의 발전에서 낙후되었다.
10. 다음 중 서양각국의 산업화에 대한 설명중 괄호 속에 들어갈 나라 이름이 적절하게 배열된 것은? (정답 : 독일-러시아)
( A )은/는 19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본격적인 산업화의 길을 걷지 못했으나 1871년 이후 국가적 통합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입각한 비약적인 산업화를 이룩했다. ( B )은/는 전제적인 독재체제와 농노제로 말미암아 19세기 후반까지 산업화를 이루지 못하다가 1890년대 외국의 차관을 도입하여 급속한 산업화의 길을 걸었으나 그 무리함으로 인하여 곧 사회주의혁명으로 이어졌다.
<시민사회의 전개> (계절수업 포함 기출 문제 정리분)
2001대체1. 나폴레옹의 몰락 후 유럽에서 볼 수 있었던 다음 4가지의 사항 중 다른 것들과 그 성격이 다른 것은?
① 빈체제 ② 복고정통의 원리
③ 4국 동맹 ④ 그리스의 독립
(해설): 나폴레옹의 몰락 후 수립된 빈체제는 정통과 복고의 원리로서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기 이전의 유럽의 상태로 되돌아가자는 것이었다. 여기서 신성동맹과 사국동맹 등 일종의 유럽협조체제가 이루어졌다(교재 497~498쪽). 사국동맹은 오스트리아, 영국, 러시아, 프로이센이 맺은 동맹이다(교재 487쪽). ④ 1821~1829년에 걸쳐서 진행된 그리스의 독립전쟁은 유럽의 자유주의자와 낭만주의자 및 지식인들의 열띤 호응을 받아 성공했다(교재 498쪽). 그리스의 독립은 빈체제에 대한 위협이 된 것이다. 정답은 4번.
2006계절24. 나폴레옹의 몰락 후 유럽에서 볼 수 있었던 다음 4가지 항목 중 그 성격이 판이하게 다른 것은?
① 비인체제 ② 신성동맹
③ 4국 동맹 ④ 7월혁명
2001대체2. 19세기의 사회주의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① 사회주의는 산업혁명으로 발전한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사상체계로 등장했다.
② 생 시몽, 푸리에, 오웬 등의 초기사회주의자들은 계몽과 설득을 중시했다.
③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과학적 사회주의를 표방하여 행동보다는 사고 및 학문을 중시했다.
④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의 붕괴를 촉진하기 위한 노동자의 단결을 촉구해 국제노동자협회를 조직했다.
(해설): ① 사회주의는 산업화 및 자유방임의 경제질서에서 비롯된 모순을 극복하려는 시도로서, 바로 산업혁명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교재 494쪽). ② 교재 494~495쪽. ③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헤겔변증법의 변혁논리, 그 사변성(思辨性)을 극복했던 포이어바흐의 유물론, 계급투쟁의 이념을 제시했던 프랑스의 초기사회주의, 자본주의의 논리인 영국의 고전경제학 등 당대의 사유를 광범위하게 종합하여 과학적 사회주의 곧 공산주의의 이념을 제시했다(교재 495쪽). 따라서 이 사상은 사고와 학문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행동도 강조하고 있다. ④ 교재 496쪽. 정답은 3번.
2005계절 46. 다음 중 19세기의 주요 이데올로기였던 사회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합당하지 않은 것은?
① 초기사회주의란 1830년부터 1848년까지의 사회주의적 사유를 일컫는다.
② 산업화 및 자유방임의 경제질서에서 비롯한 모순을 극복하려는 시도로 출현한 사상체계이다.
③ 1848년 혁명의 실패와 함께 유럽의 사회주의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④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과학적 사회주의는 초기사회주의로부터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2001대체3. 다음 중 19세기 유럽 각국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영국은 산업혁명이 초래한 문제들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가면서 19세기 후반에는 빛나 는 빅토리아기를 맞이하고 20세기 초에는 민주적인 복지국가로의 길을 열었다.
② 프랑스는 프랑스대혁명 이후 10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정치적 시련을 경험하면서 공화정을 확립시키게 된다.
③ 독일과 이탈리아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국가적 통합을 이루게 된다.
④ 미국은 남북전쟁 이후 경제적 통합에 실패하여 자본주의 발전에서 낙후되었다.
(해설): ① 교재 502쪽. ② 프랑스는 7월 혁명과 2월 혁명 등 정치적 소요를 겪으면서 왕정, 공화정, 제정을 거쳐 1870년대에는 공화정을 확립했다(교재 486쪽). ③ 19세기 전반기까지 정치적 분열 상태를 지속해 온 이탈리아와 독일은 19세기 후반기에 통일을 달성하여 새로운 강국으로서 발전의 길을 걸었다(교재 486쪽). ④ 미국은 남북전쟁 이후 자본주의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다(교재 466쪽). 정답은 4번.
2006계절25. 다음 중 19세기 유럽 각국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혁명이 초래한 문제들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갔다.
②랑스대혁명 이래 정치적 시련을 경험하면서 1870년대에 이르러서야 공화정을 확립시키게 된다.
③치적 독립을 성취하지 못하고 있었다.
④ 미국은 경제적 통합에 실패하여 자본주의 발전에서 낙후되었다.
2001대체4. 다음 중 19세기 유럽 자유주의와 무관한 것은?
① 개인의 가치 중시 ② 존 스튜어트 밀
③ 레닌 ④ 부르주아
(해설): 자유주의는 프랑스혁명에서 선포된 개인의 가치, 그리고 자유와 평등의 개념에 입각되어 주장되었던 개념이다. 그러나 자유주의는 프랑스혁명에 앞서 영국의 자연법 사상가였던 존 로크와 프랑스의 계몽사상 등 전재로부터 깊은 역사적 영향을 받았다. 자유주의의 사회적 기반을 이루었던 것은 유능하고 자신만만한 부르주아였다. ② 존 스튜어트 밀은 질적 공리주의를 논한 사상가였고, 후에 <자유론 on Liberty>에서는 종래의 공리주의적 자유론을 대신하여 인간정신의 자유를 논하였다. ③ 레닌은 러시아파 마르크스주의를 발전시킨 혁명이론가이자 사상가이며, 이른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표방하는 혁명정권을 수립하였다. 정답은 3번.
2006계절23. 다음 중 19세기의 자유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치 않은 것은?
①및 계몽사상, 그리고 프랑스혁명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②신만만한 부르주아의 지배를 사회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
③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고, 이성의 능력을 확신한다.
④ 공동체를 강조하여 하층민의 불행에 매우 동정적이다.
2002대체10. 다음 중 19세기 영국의 입법적 성과와 거리가 먼 것은?
① 곡물법 폐지 ② 여성참정권 부여
③ 선거법개정④ 항해조례 폐지
(해설): 교재 501쪽. ② 여성참정권 부여는 1918년 1차 대전 직후에 이루어졌다. 정답은 2번.
2002대체4. 다음 중 민족주의자로 볼 수 없는 인물은?
① 가리발디② 비스마르크
③ 코슈트 ④ 메테르니히
(해설): ① 가리발디는 이탈리아의 통일에 공헌한 남부 이탈리아의 공화주의적인 민족운동가이고, ② 비스마르크는 독일의 통일을 이끈 정치가이며, ③ 코슈트는 헝가리의 민족운동가이다(교재 492쪽). ④ 메테르니히는 빈체제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다. 정답은 4번.
2003대체1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념은?
․프랑스혁명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인간의 이성에 대해서 불신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었다.
․개인주의보다는 공동체를 중시했다.
․전통을 중요시했다.
․기존의 질서를 보존코자 했다.
① 보수주의 ② 사회주의
③ 자유주의 ④ 민족주의
(해설): 교재 487쪽. 정답은 1번.
2006기말53.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물은? (3점)
ㆍ보수주의의 대표적 이론가이다
ㆍ프랑스혁명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ㆍ인간의 이성에 대해서 불신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었다.
ㆍ개인주의보다는 공동체를 중시했다.
① 프리드리히 엥겔스 ② 장-자크 루소
③ 에드먼드 버크 ④ 칼 맑스
2003대체12. 다음 중 비인체제의 지도자로 볼 수 없는 사람은?
① 메테르니히 ② 탈레랑
③ 가리발디 ④ 알렉산더 1세
(해설): 교재 498쪽. 빈체제와 맥을 같이하는 동맹체제 내제 협조체제의 지도자로서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더 1세, 프랑스의 재상 탈레랑이 부상했다. ③ 가리발디는 이탈리아의 통일에 크게 기여한 남부 이탈리아의 공화주의적인 민족운동가이다(교재 504쪽). 정답은 3번.
2003대체13. 다음 중 독일의 통일에 깊이 관련된 인물은?
① 생시몽 ② 로버트 오우웬
③ 바이런 ④ 비스마르크
(해설): 교재 504쪽.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를 제외시킨 관세동맹으로써 통일의 첫걸음을 내딛고, 현실정치가 비스마르크의 정책을 통해 통일의 가장 큰 장애물이었던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의 세력을 꺾고 통일된 독일제국을 수립했다(1871). 정답은 4번.
2004기말69. 다음 중 19세기 유럽의 이념 중 하나가 아닌 것은?
① 실존주의 ② 보수주의
③ 민족주의 ④ 자유주의
7월 혁명과 2월 혁명 등 정치적 소요를 겪으면서 왕정, 공화정, 제정을 거쳐서 1870년대에는 공화정을 확립했다. 2004기말7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국가는?
① 독일 ② 영국 ③ 프랑스 ④ 이탈리아
2004계절33. 다음 중 19세기 유럽의 보수주의가 중요시하는 항목으로 적합한 것은?
① 개인 ② 권위 ③ 이성 ④ 진보
2004계절 3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프랑스의 인물은?
자신의 삼촌과 마찬가지로 쿠데타로 집권하여 황제로 등극했으며 18년간 집권했으나 프로이센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몰락하고 말았다.
① 강베타 ② 나폴레옹 3세
③ 띠에르 ④ 루이 블랑
2004계절35. 다음 중 19세기 민족주의적 움직임에 그다지 호의적이지 못했던 사람 혹은 집단은?
① 가리발디 ② 코슈트
③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 ④ 메테르니히
2004계절36. 다음 중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수립된 빈 체제의 붕괴와 거리가 먼 사항은?
① 그리스의 독립전쟁 ② 먼로 독트린
③ 신성동맹 ④ 7월혁명
2006계절22. 다음 중 빈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억압하려는 의도에서 19세기 초에 수립되었다.
② 보수, 반동체제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③ 빈 체제의 영수 메테르니히는 유럽 각국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운동을 탄압코자 했다.
④ 빈 체제는 1830년 7월 혁명 이후에도 여전히 건재했다.
2005기말58. 19세기의 다양한 경향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3점)
① 보수주의는 프랑스 혁명 및 그 사상적 기반에 대하여 호의적이었다.
② 자유주의는 개인의 가치, 자유와 평등의 개념 등을 중요시했다.
③ 사회주의는 부르주아까지 포함한 전 국민의 요구를 반영하고자 했다.
④ 낭만주의는 합리주의를 기반으로 했다.
2005기말59. 빈체제에 입각한 유럽협조체제(The Concert of Europe)의 지도자로서 활
약했던 인물이 아닌 사람은? (3점)
①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더 1세
②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
③ 이탈리아의 마치니
④ 프랑스의 탈레랑
2005기말60.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적절하게 짝지은 것은? (3점)
민족주의는 독일이나 이탈리아와 같은 대규모의 민족 통합만이 아니라 약소국가 및 약소민족의 움직임도 자극했다. 1867년에는 ( A ) 합스부르크 왕조의 통치 하에 있던 마자르족의 헝가리가 자치를 획득했으며, 세르비아 등 ( B ) 소수민족들도 동요했다. 이는 19세기 말에 제국주의 팽창과 함께 각기 세력범위를 넓히려 시도한 독일과 오스트리아 중심의 범게르만주의와 러시아중심으로 ( B )계의 제 민족 사이에서 형성된 범( B )주의와의 대립을 초래했다.
① 오스트리아 - 슬라브 ② 프로이센 - 게르만
③ 세르비아 - 투르크 ④ 루마니아 - 라틴
2005계절43.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물은?
프 랑스 제2공화정의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보수파와 급진파의 대립 및 공화주의자 내부의 갈등을 이용한 쿠데타(1851년 12월)로 독재권을 장악하고 급기야 국민투표로 제2제정을 수립했다(1852년 12월).
① 나폴레옹 3세 ②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③ 레오폴드 2세 ④ 빌헬름 2세
2005계절44. 다 음 중 1848년 유럽에서 일어난 2월혁명에 대한 설명으로 합당한 것은?
① 독일 통일을 위한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했다.
② 2월혁명의 결과로 폴란드는 독립을 하였다.
③ 크게 성공하여 유럽의 사회, 정치적 발전을 가속시켰다.
④ 혁명세력은 국가권력의 물리력 앞에서 무력함이 증명되었다.
2006계절21. 다음 중 프랑스 2월 혁명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① 7월 왕정에 대한 불만의 폭발이었다.
② 전반적인 경제위기가 배경을 이루었다.
③ 혁명 후 보통선거제가 실시되었다.
④ 혁명 후 사회주의자가 압도적인 다수로 의회에 진출하였다.
제18장 제국주의와 세계대전 (출제예상문항수:2~3)
1. 제국주의의 개념
▸좁은 의미-원료확보, 상품수출, 잉여자본의 해외투자를 위한 해외 식민지 획득도모
▸넓은 의미-한 국가가 정치 경제 군사적 지배를 다른 지역으로 확장시키는 것
▸고전적 제국주의시대-1870-1914년 자본의 수출, 민족주의에서 시작된 국가주의를 배경으로.
2. 제국주의 출현의 배경
가. 잉여자본 축적과 세계자본주의 체제
1)과학기술 발달→ 경제적 비약→잉여자본형성 및 독점강화→ 기업결합과 은행지배→ 자유경쟁 쇠퇴
→독점자본주의 및 금융자본주의
2)식민지 역할증대 :원료공급지, 상품시장 의미이외에도 잉여자본 투자대상지역이라는 새로운 역할 나. 유럽의 세력균형 파괴
▸이탈리아와 독일 통일에 따른 균형파괴. 3국협상과 3국동맹간의 다툼
㉠3국협상-영국 프랑스 러시아 ㉡ 3국동맹-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발칸반도- 제1차세계대전 촉발
다. 유럽 각국의 내적 갈등
▸기업연합체, 공황발생- 대기업의 성장과 독점 강화,
▸공황 발생-대규모 공장생산으로 상품량 증대, 유효 수요가 못 미침
▸계급 갈등의 심화, 소시민(신중간층)의 역할 강화, 국가기능의 강화, 민족갈등의 심화, 급진적 행동주의 및 극단적 민족주의 등장으로 제국주의적 분위기 강화.
3. 각국의 제국주의 정책
가. 영국의 제국주의: 3C 정책-아프리카 종단정책, 케이프타운 카이로 캘커다 연결- 아프리카 경영 시도
나. 독일의 제국주의-빌헬름 2세의 적극적인 제국주의 정책, 3B정책
빌헬름 2세(1888-1918)의 적극적 제국주의 정책: 3B정책(베를린, 비잔티움, 바그다드), 범게르만주의, 세계정책 표방
다. 프랑스의 제국주의 : 고리대 제국주의라 불림(제국주의 이면에 국내의 경제적 상황이 존재), 문화적 제국주의 표방, 아프리카 횡단정책 추구(영국과 마찰)
라. 러시아의 제국주의 : 남하정책 - 부동항 탐색이 목적, 발칸지역으로 팽창, 범슬라브주의 표방
4. 제 1. 2차 세계대전
가.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원인: 1914년 세르비아 청년이 오스트리아황태자 내외 암살 사건, 제국주의 폭발
▸성격 : 장기전, 전면전, 지구전, 총력전, 과학전, 선전전, 소모전
▸결과 : 봉건적 잔재 청산, 민주화 경향 증대, 평등요구 강화, 미국이 세계 주도국가로 부상 베르사이 유체제 등장- 국제연맹 창설, 대공황(1929)과 파시즘의 등장
나. 제 2차 세계대전(1939-1945)
▸원인 : 베르사유조약에 대한 패전국 독일과 전승국 이탈리아의 불만 ㉠이탈리아-에디오피아 침공,알 바니아로 진격, ㉡독일-에스파냐 내전개입, 오스트리아합병, 베르사유조약무효화,
▸성격 : 제국주의의 산물
다. 세계대전 이후 세계
▸ 파시즘 종결, 식민지 시대 막을 내림, 제3세계 출현,
▸신자유주의 확대-경제. 사회적 불평등이 국제적으로 심화
▸소련과 공산권 몰락으로 수많은 내전과 난민 발생
라. 제국주의의 현대적 의미
▸다국적기업의 약소국 종속,
▸자국의 원만한 노사관계를 위한 비용을 주변부 국가에서 수탈하는 ‘신식민주의’
마. 20세기 사상의 특징 : 비합리성과 反지성적 경향
▸20세기의 사상: 프로이트 - 정신분석, 파블로프- 조건반사설, 사르트로-실존주의, 듀이-실용주의, 역사학-문명흥망론(슈펭글러, 토인비)
'´˝˚³οο ı Łονё 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 중세사회와 문화 (0) | 2009.03.24 |
---|---|
세계의 역사/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0) | 2009.03.20 |
제16장 프랑스혁명 (0) | 2009.03.18 |
14강. 유럽 국가체제의 수립 (0) | 2009.03.18 |
제6강. 일본사 (0) | 200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