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송 동시 - 제 33 편]
먼지야, 자니? 이 상 교 책상 앞에 ▲ 일러스트=양혜원 먼지는 그 부피나 의미의 크기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물질이다. 한 시학자에 따르면 먼지는 찢어짐과 모순에서 태어나고 그 본질은 극한소의 분할이다. 먼지의 정체성이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의 최소단위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듯하다. 이를테면 김수영이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할 때, 먼지는 더 작게 쪼갤 수 없는 가장 작은 자아, 작아서 볼품도 없고 의미화할 수도 없는 한심한 것의 상징이다. 먼지는 고갈, 오류, 소멸의 연상에서 그 존재태(存在態)를 드러내지만 그것이 먼지의 불명예는 아니다. 먼지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는 것은 그것이 도덕성의 결과가 아니라 먼지의 타고 난 바 불가피한 숙명인 까닭이다. 2008.06.17 22:56 장석주·시인
영어사전홈
poet ; n.시인;시인 기질의 사람,상상력이 풍부한 사람
|
'—…³οο ı ĿØЦЁ УØЧ > ´˝˚³οο ı Łονё 愛誦'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시간 / 김 종 상 [애송 동시 - 제 35 편] (0) | 2008.06.20 |
---|---|
닭/ 강 소 천 [애송 동시 - 제 34 편] (0) | 2008.06.19 |
봄편지/ 서덕출 [애송 동시 - 제 32 편] (0) | 2008.06.17 |
밤이슬/ 이 준 관 [애송 동시 - 제 31 편] (0) | 2008.06.16 |
잡초 뽑기/ 하 청 호 [애송 동시 - 제 30 편] (0) | 2008.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