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 ı Łονё 歷史

중국 역사

수로보니게 여인 2009. 3. 18. 17:43

세계 역사의 네비게이션

 

제1-5장 중국 역사 ( 출제예상문항 수 : 7~12) *기출문제 분석표에 의거함

 

①선사시대→ ②하(夏:BC1600)→ ③상(商)→ ④주(西周서주)→ ⑤춘추전국시대(東周동주)

→ ⑥진(秦)→ ⑦한(前漢)→ ⑧후한(後漢)→ ⑨삼국시대(위,오,촉)→ ⑩진(晉)→ ⑪ 오호십육

국(五胡十六國)→ ⑫남북조(南北朝)→ ⑬수(隨)→ ⑭당(唐)→ ⑮오대십국(五代十國)→ ⑯송

(宋)→ ⑰원(元)→ ⑱명(明)→ ⑲청(淸)→ ⑳제1차중영전쟁(아편전쟁)→ Ⓐ태평천국→ Ⓑ제

2차중영전쟁→ Ⓒ대만사건(1874)→ Ⓓ청불전쟁→ Ⓔ청일전쟁→ Ⓕ변법운동→ Ⓖ의화단운

동 → Ⓗ신정실시→ Ⓘ신해혁명→ Ⓙ5.4운동→ Ⓚ국민정부→ Ⓛ만주사변→ Ⓜ중일전쟁→

Ⓝ 내전→ Ⓞ중화인민공화국

① 선사시대

▪양사오문화(채도토기),룽산문화(흑도토기)

② 하 (夏:BC1600)

▪신화적인 삼황오제(요,순,우. )등장-세습아닌 선양방식.

▪은허. 갑골문자, 신정정치(제정일치). 읍제국가(연합적 봉건제도)

④ 주 (西周서주)

▪종법적(동일혈족의 결속,지방통제제도) 봉건제도-대종(적장자)이 왕위승계, 후(대종이 승계)는 소종으로 분봉, 제후의 소종은 경대부로서 분봉된 지방 다스림. ▪천명사상. ▪예문화, ▪정전제(井田制)-소농민 보호, 대토지 소유 제한


㉮춘추시대(동주시대(BC770-221)전기): ▪강력한 제후 출현[5패-제환공, 진문공. 초장왕, 오합려, 월구천], ▪ 봉건제 붕괴, ▪주왕실 약화, ▪현의 등장(영토국가에 입각한 행정조직)

㉯전국시대(동주시대 후기): ▪전국칠웅[진(秦),한(韓),위(魏),조(趙),연(燕),제(齊),초(楚)],

▪청동화폐, ▪상앙의 변법실시[변법-연좌제, 차등적 신분제, 소농민적극육성, 중농 억상책, 도량형통일, 사상단일화], ▪제자백과[㉠출현배경-인간중심의 합리적사고, 능 력 있는 관리유치 ㉡특성-인간 개인의지확신, 자연에 대한 합리적 해석, 체계적인 지식 정리 및 전수 ㉢주요 학파 ⓐ유가-공자[명분 중시, 효도사상, 인본주의],맹자 [성선설, 왕도정치], 순자[성악설,禮 중시) ⓑ묵가-묵자[공리중시, 만민평등의 겸애 의 실천방안으로 현자에 의한 하향식 통치와 철저한 상명하복) ⓒ법가-한비자[강력 한 중앙집권 국가확립], ⓓ도가-[노자, 장자] 무위자연, 우주원리에 접근

⑥ 진 (秦)

▪법가에 의한 천하통일, ▪분서갱유, ▪황제 1인 지배를 통한 군현제실시, ▪법령, 문자, 화 폐, 차궤(車軌)길이 통일

⑦ 한 (前漢) :호족사회

▪한고조-군국제(봉건제+군현제) 실시-과도기적 통치방식

▪한무제-유학을 통치이념(동중서 건의)으로 중앙집권적 통치체제 확립, 지방에 감찰관 파견, 천인상관설(동중서의 제안-태학설치,오경박사), 흉노족과 전쟁, 균수법(지역에 따른 가격차 조정),평준법(계절에 따른 가격차 조정),동서교통로(실크로드)개통-장건

후한(後漢)시대[왕망의 외척정치- 신(新) 왕조건국, 호족세력 억압((토지국유제, 노비매 매금지),왕망 정권 붕괴 → 유수(劉秀)가 재건한 한 왕조]

▪유학생 양성, ▪효렴과 통해 관리선발, ▪호족연합정권, ▪외척과 환관세력 발호, ▪청류파 운동. ▪황건의 난-태평도라는 신흥종교단체가 모체가 됨

⑨ 삼국시대(위,오,촉)

▪생활권 확대, ▪위(魏)-구품중정법(조비가 만듬. 관제를 9품으로 나눠 임용), ▪둔전제(유랑 민 토착 안착)

⑩ 진(晉)

▪사마염이 서진 건국-북방에 5호(흉노, 선비족, 저족, 갈족, 강족) 침입으로 강남으로 피하여 동진 건국,

⑪ 오호십육국 (五胡十六國)

▪화북에는 5호 16국 난립

⑫ 남북조 (南北朝)

▪북조-5세기 초 선비족이 건국한 북위가 5호 침입으로 분열된 화북지방 통일, 효문제 의 호한융합정책-성을 한족풍의 단성(單性)으로 바꿈, 균전제, 삼장제 시행, 도교 수용

▪남조-남쪽에는 동진에 이어 송, 제, 양, 진의 4왕조가 교체, 이를 남조라 함

▪남북조의 역사적 의의-북위의 한화정책(효문제), 강남개발촉진, 불교수용, 도교유행

⑬ 수 (隨)

▪수문제(양건)- 남북조 통일, 중앙집권강화(중앙에 삼성육부, 지방에 주현 설치), 과거제 실시-구품중정법 폐지.

▪수양제 -대운하 건설, ▪수의 멸망원인-대토목공사, 대외원정 실패

⑭ 당 (唐)나라 :고조이연과 태종 이세연이 건국

▪정관의 치세-당 태종, ▪개원의 치세-당 현종, ▪무위의 화-측천무후의 농단(중국 유일의 여황제),

▪수당의 율령체제-율(헝법),영(행정법규),격(보충규정),식(시행세칙),

▪당의 통치체제:3성(중서성, 문하성, 상서성) 6부(이, 호. 예, 병, 형, 공)

, ▪관리선발-과거제도,

▪토지제도-균전제,

▪조세제도- 조용조, ▪군사제도-부병제,

▪당 후반의 변화-균전제 붕괴, 양세법(토지 면적에 따라 일년 두 번 부과)실시-조용조 가 양세법으로 바뀜. 병제-모병제, 안사(안록산과 사사명)의 난, 황소의 난

▪ 당의 멸망-절도사 출신 주전충이 당을 멸하고 후량(後粱) 건국(906)

▪ 당.송 경제.문학: 농업발달, 상업발달(실크로드 통해 이슬람계 상인 왕래, 국제적 문화 성행, 종파불교의 전성기. 도교,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경교, 이슬람교 등 전해짐.

⑮ 오대십국 (五代十國)

당송 교체기에 화북에는 5왕조가 교체되고, 강남에는 10국이 분립

⑯ 송 (宋)

▪송의 건국(960년) : 후주의 절도사 조광윤(송 태조)

▪송태조의 정책 : 중앙집권적 황제독재체제-중서성, 추밀원, 삼사의 황제직속, 절도사 권 한 축소, 군대의 황제 직속화, 과거제 강화(관료임명권 장악), 문치주의 : 사대부가 기 반, 지방행정을 문관이 담당, 군사력약화-북방민족의 침입,

▪요(거란)의 침입-전연의 맹약(1004)

▪금의 침입-정강의 변(1127년, 북송멸망, 남송재건-휘종의 아들 강왕이 강남에 건립 1129)

▪왕안석의 정치개혁(신법)㉠배경-재정난과 빈부의 차 해결, 부국강병이 목적 ㉡부국책 -

균수법(물자통제, 중간상인 폭리배제), 청묘법(농민에 대한 저리 융자, 자작농민 보호), 시역법(중소상인에 대한 저리 융자), 모역법(면역전 및 부역 희망자에 대한 역무) ㉢강 병책- 보갑법(민병제도, 자경), 보마법(백성에게 관마를 사육토록 함, 전시 군마로 사 용) ㉣결과-부유층 반대로 실패-당쟁과 혼란 유발(신법당과 구법당의 갈등)

▪송대의 사회 문화-농업발전, 형세호(신흥지주 출신의 관료 및 대상인, 장원의 소유와 확대에 주력함. 경제.정치적으로 국가기초를 이룸), 전호소작제(장원 경영을 부곡 경영 방법에서 전호 소작제로 전환), 농업생산력의 향상, 수공업 발달(견직물, 돠자기, 칠기. 제지, 제염 생산 등), 상업 발달(화폐경제 발달로 지폐인 교자.회자의 유통과 금융기관 출현 촉진), 동업조합 발달(상인조합-행, 수공업조합-작)

▪송 문화 특색-국수적, 서민적, 내성적

▪송학-주자학(성리학, 정주학)-남송의 주희(주자)가 완성, 이기이원론(우주의 근본원리와 인간본성의 구성요소), 육구언의 이기일원론의 유심론-명대 왕수인에게 계승-양명 학으로 발전

▪송의 발명품 - 후한의 채윤이 발명한 제지법과 함께 중국의 4대 발명품 -활자(11세기), 화약(11세기), 나침반(12세기)

▪중국의 정복왕조-요(거란), 금(여진), 원(몽골), 청(만주족)

▪요의 이중 통치체제: 남면관제-한족통치, 북면관제-유목민 및 거란족, 거란문자제정

▪금의 통치체제: 여진족-발극렬(여진 말로 관인, 황족 또는 여진족 부족장이 임명),맹안 모극제(여진 고유의 군사, 사회조직)

중국인-중국식 주현제도

⑰ 원 (元)-동서문화의 활발한 교류

▪1271년 건국(쿠빌라이)-1234년 남송과 동맹, 금 멸망시킴. 1279년 남송 멸망시킴), 중 국 전체를 완전 지배한 최초의 이민족 정복왕조

▪몽골지상주의(철저한 민족차별주의):반몽감정 유발

제1등급-몽골인, 요직독점

제2등급-색목인,터키계, 이슬람인, 재정 담당

제3등급-화북 한족(금 치하)

제4등급-남송의 유민, 만자(蠻子)라고도 함, 천대받음.

▪역참제도:넓은 영토 통치와 질서유지 목적(역-말을 갈아 타는 곳, 참-역로에서 쉬던 곳)

▪원 문화의 특징: 서민문화 발달[연극,희곡(북곡), 소설의 발달-통속성], 동서교통의 발 달(초원의 길 개척), 다양한 종교 전파(기독교, 이슬람교, 라마교), 동서문화의 교류 촉 진(마르코폴로, 이슬람상인)

▪원의 쇠망 원인: 지나친 몽골지상주의-한인의 반란 초래, 칸위 계승권 투쟁, 라마승의 횡포, 재정 궁핍, 교초(화폐) 남발로 인한 물가상승, 농민반란(백련교의 난)

⑱ 명 (明)

▪명의 건국 :1968년 난징에서 주원장(명태조)이 한족 왕조 건국

▪명태조의 통치제제-황제독재체제[재상(중서성)제 폐지, 6부를 황제 직속하에 둠],향촌 통제[어린도책(토지대장), 부영황책(조세대장), 이갑제 실시],금의위 설치-공포정치, 국 가 체제 확립 위한 대명률, 대명령 제정, 유교진흥-주자학을 관학으로 정하고 과거제 부흥

성조 영락제의 즉위 : 명의 전성기, 대외정벌(정화의 남방정벌) 영락제 이후(15세기 이후) 점차 쇠퇴: 관료의 부패, 환관의 발호, 당쟁(동림당과 비동림당)북로남왜의 외환

▪ 신종 만력제가 장거정 등용-개혁실시

▪ 장거정의 일조편법 : 토지세, 인두세, 부역을 통합해 은으로 납부케 한 조세제도

▪ 신종 만력제 이후 환관의 발호와 당쟁 격화 - 이자성의 난 - 명의 멸망(1644년)

⑲ 청 (淸)

淸의 건국: 1616년 누루하치(청태조)가 後金 건국, 팔기제라는 고유의 군사․행정조직으로 강력한 군대 지님, 태종 때 국호를 淸으로 개칭(1636년)- 세조 때 이자성 일파를 평정하고 중국을 통일,

청의 중국통치정책 : 강경책과 회유책을 병행

강압책-변발, 호복강요, 금서령(반만 서적금지), 문자의 옥(文字의 獄, 사상탄압)

회유책-한족등용(만한병용), 한문화 존중, 6부제도입

다음 3대 약 130년 간 청의 전성기

강희제 : 오삼계 등의 삼번의 난(1673) 평정, 화폐경제와 농업발전, 한족에 대한 유화정책 실시

옹정제 : 관료통솔과 인민지배를 통한 중국지배정책(강압책실시), 지정은제 실시, 군기처 설치-황제 측근의 최고 심의기관, 군사적 만주적 성격 강화

건륭제 : 사고전서 편찬, 대외정벌

청은 군제를 제외한 모든 제도를 명으로부터 계승, 중국문화의 집대성.

청의 향촌통제정책 : 보갑제(지방의 치안유지 제도)

▪ 청의 외교: 네르친스크조약(1688): 강희제 때 체결, 중국 최초의 국제조약. 러시아의 남진 저지

명․청의 사회 경제적 특징

신사: 명․청의 지배층 - 지방의 지주층으로 교양과 학식을 지닌 지식인, 송의 사대부와 같은 성격

농업생산력의 증대, 송대 개발된 강남지방은 명대에 이르러 경제중심지로.

상업과 화폐경제의 발달

은본위 화폐경제- 명의 일조편법, 청의 지정은제도는 조세의 은납화 추구.

실학과 자연과학 발달(명말 예수회 선교사들이 서양의 과학지식을 전함)

명․청시대의 사상

명 : 양명학, 명 중기에 왕수인(왕양명)이 주창, 주자학의 관학화(학문적 고정화, 자유로운 사상의 발 전 저해)에 대한 반발, 지행합일설

청 : 고증학, (황종희, 고염무)-청의 문자옥(사상통제)의 영향으로 정치사상적 측면 보다는 문헌학적 고증의 정확성을 중시하는 실증적․과학적․객관적인 학문태도

명말 청초 예수회 선교사들의 활동: 서양 과학지식과 총포 제조기술 전래.

통속소설 유행: 명-수호전, 삼국지연의, 서유기, 금병매, 청-홍루몽, 유림외사 등.

건륭제 이후 반청복명운동 재등장, 서양열강의 위협

⑳ 제1차중영전쟁 (1839.아편전쟁):

1.시대적 배경-광둥무역체제 : 청과 서양의 무역관계 광주에서만 무역가능(1757년 개항) 13공행(특허상 인)의 무역, 외교업무 관장, 아편전쟁의 원인

2.원인 : 영국 동인도 회사의 무역적자-영국의 아편수출-중국의 은 유출-중국의 경기 침체

3.결과 : 난징조약(1842) 체결-중국 최초의 불평등 조약, 공행무역 폐지, 공저우 등 5개항 개항, 홍콩 할양, 배상금 지불 등 (1843)- 치외법권 보장, 관세 자주권 상실, 최혜국 대우 약속 Ⓐ 태평천국운동(1851-1864) : 사회 경제적 모순의 개선노력, 민족주의의 고양, 반제국주의 운동

홍수전의 배상제회 중심, 유교배격,멸만흥한(滅蠻興漢) 기독교적 이상사회 건설

▪천조전무제도-인간평등, 토지 균분, 공산적 사회체제

Ⓑ 제2차중영전쟁(1856)

1. 원인(배경) : 영국과 프랑스의 난징조약 개정의 필요성, 애로 호 사건(영국국기 모욕사건)

2.결과 : 톈진조약(1858) - 기독교 포교의 자유, 북부항구 개항. 조약의 비준문제로 베이징조약(1860) 체결, 주권국가의 위신에 큰 타격, 세계자본주의체제의 종속적 시장으로 편입, 반식민지.

Ⓒ 대만사건 (1874)

대만 토착민이 류큐의 포류민 살해사건으로 청이 류큐인들에 대한 보상금과 대만점령지에서 일본군 시 설물 대가 지불, 일본 유큐 병합(1879)

Ⓓ 청불전쟁

청의 베트남 종주권 고수 문제로 청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전쟁, 텐진조약-배트남에 대한 종주권

상실

Ⓔ 청일전쟁

배경 : 조선의 동학농민운동.

결과 : 일본승리, 시모노세키조약(1895), 3국 간섭러시아, 프랑스, 독일의 일본 견제. 결국 류큐, 베트 남, 조선에 대한 종주권 상실은 중화제국 질서의 완전한 붕괴를 의미.

Ⓕ 양무,변법운동(무술개혁,1898)

▪자강운동(1860년 이후) : 국가 부강운동. 두 가지 방향(양무운동, 변법운동), 권위주의적 방식으로 진 행, 중체서용(전통사상인 유학을 중심으로 근대 서양문명을 수용)이 이념적 바탕

▪양무운동: 서양의 군사 과학기술을 받아들이자는 초보적 자강운동, 조선소 병기 공장 설립, 신식군대 설치, 서양의 학문 언어 습득

▪변무운동 : 강유위, 양계초 등이 제도개혁을 통한 강력한 주권국가 건설 목표. 입헌군주제 추구. 의회제도 개설. 과거제도 폐지. 상공업 진흥 관제와 법제의 개혁,

반대파의 쿠테타로 실패

Ⓖ 의화단운동(1900)

성격 : 반기독교 반외세(반제국주의) 민족운동.

구호 : 부청멸양(청나라를 돕고 서양을 물리침)

결과 : 신축조약(1901) 체결(책임자 처벌, 외국군 주둔 허용, 배상금 지불, 새 통상조약 체결)

의의 : 제국주의 중국 과분(분할)방지, 청 왕조의 기반 약화

Ⓗ 신정실시

1901년 서태후가 선포,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서구식 개혁

Ⓘ 공화혁명,신해혁명(1911.10.10)과 중화민국 수립

1 . 쑨원의 혁명운동- 삼민주의: 중국 혁명동맹회(1905)의 이념 - 민족주의, 민생주의, 민권주의

2.신해혁명- 청 왕조의 멸망, 공화제 정부(중화민국 수립, 1912.1.1)출범, 위안스카이의 황제제도 부 활 시도. 그의 사후 군벌정치(1916-1927)의 시작

5․.4운동(1919년)

1.발단: 신문화 운동(천두슈(陳獨秀)의 『신청년』 잡지 창간)으로 시작, 후스(胡適) ‘백화문’운동 제창, 루쉰 『광인일기』『아Q정전』

2.전개 : 1919. 5. 4 베이징대학 학생들 파리강화회의 반대, 매국노 처벌, 반군벌 반제국주의, 일화배척 등 주장하면 시위, 전국 대도시로 확산 대규모 민중 민족운동으로 발전

3.영향 : 중국 공산당 창당(1921), 중국 국민당을 대중적 정당으로 개편 국민혁명이 실천단계로 접어듬

Ⓚ 국민정부(1927)

1.난징이 수도, 삼민주의에 입각, 삼권분립(입법원 사법원 행정원)

2.국민정부의 개혁정치 - 근대화 정책 추진, 경제발전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둠

3.경제 재정개혁 : 은행의 설립, 관세 자주권 회복, 관세수입 증대, 화폐개혁

4.농촌 부흥정책 : 수리시설 설치 농업기술 개량 구제금융 지원, 소작료와 지세 인하

5.교육개혁 : 고등교육기관 확충, 중앙연구원(연구기관)설립 - 국학연구

Ⓛ 만주사변 (1931), 시안사변(1936)과 제2차 국공합작(1937)

(장쉐량의 장제스 감금사건)이 계기, 항일연합전선 형성 전면적 항일운동 개시, 국민군은 정규군, 공산 군은 유격전 담당하여 항일전 전개.

Ⓜ 내전

1945년 항일전에서 승리한 중국은 1946년 내전이 일어났고, 1948년 공산군 승리

Ⓝ 중화인민공화국 수립(1949.10.1)

1. 중국 내전에서 공산당 승리, 북경이 수도, 패배한 국민당 정부는 대만으로 옮김, 마오쩌둥 인민정부 주석, 저우언라이 정무원 총리

2. 대약진운동 - 1958년부터 철강, 에너지, 식량증산운동, 인간의 정신력과 집단의 힘에 의지한 운동으 로 실패

3. 문화대혁명(문혁, 1965-1976) - 자본주의 사상 문화에 대한 투쟁, 사청운동(지방관료 가운데 불순분 자 청산), 문혁은 자본주의의 길을 걷는 실권파로부터 권력탈환을 위해 시작, 마오쩌둥 사후 4인방 실각하며 종결됨.

4. 개혁개방정책 - 덩샤오핑 주도

개혁-자본주의화 시장경제화, 개방-폐쇄적 자력갱생 포기, 국제시장에 참여

결과-민영기업등장, 경제특구설치(외국자본과 기술 유치), 권력형 부정부패, 물가상승, 빈부차, 배금 주의, 실업 등 사회문제 발생

5. 톈안먼사건(1989. 6) - 정치민주화 요구, 덩샤오핑은 사회주의프롤레타리아독재, 공산당지도, 마르 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사상의 기본원칙 고수하며 민주화운동 진압.

6. 사회생활의 변화 - 생활양식의 서구화로 전족 폐지 등을 통한 신체의 자유와 의생활 변화, 오락(경 극, 영화), 핵가족제, 결혼과 이혼의 자유, 1부1처제, 여성과 아동 권익보호, 인구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