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οο ı ĿØЦЁ УØЧ/´˝˚³οο ı Łονё 헬스

“여성 갱년기 장애”

수로보니게 여인 2009. 2. 2. 16:14

“여성 갱년기 장애”


폐경이란

여성의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난소의 기능이 소실되고, 여성 호르몬이 결핍되어 영구적으로 생리가 없어지는 것을 폐경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48~ 52세경 폐경을 맞이하게 되며, 체내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소실됨에 따라 중대한 몸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를 갱년기라고 한다.


갱년기 증상 및 징후

갱년기 증상은 무증상에서 중증까지 다양하다. 얼굴의 화끈거림(안면홍조), 발한은 갱년기 여성의 75%가 경험한다. 이 홍조의 주요 느낌은 강한 열감이나 실체 체온은 증가하는 것이 아니다. 대개 1년 정도 화끈거림이 지속되나 1/3 정도에서는 5년 이상 장기적으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함께 가슴 두근거림이나 어지러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폐경기의 정신‧심리적 변화 특징으로 기분변화, 기억력 변화, 성 기능의 변화이다.

기분변화 중 가장 흔한 증상이 우울로 70~80%가 경험하게 되며 불안, 짜증, 긴장, 신경과민, 자신감의 상실 등이 있다. 그 외 기억력이 저하되고 집중력이 떨어지며 불면증의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갱년기 우울증은 대개 그 정도가 약하며 지속적이지 않다.

기타 신체적 변화로 변비, 설사, 관절통, 수족 냉증, 체중감소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비뇨‧생식기 증상으로는 소변이 자주 마렵고 소변 뒤에도 시원치 않은 요도 방광염 증상이나 질 건조증으로 인한 성교 시 통증을 보이기도 한다.


다양한 치료법

폐경(갱년)기는 일반적으로 뚜렷이 그 증상이 나타나므로 폐경의 생리적 변화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 스트레스에 대해서 안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1. 호르몬 치료

폐경기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인 얼굴의 열감은 충분한 용량의 약물을 복용하면 거의 소실된다. 주 치료제가 에스트로겐 호르몬으로, 복용 중에 용량을 줄이거나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증상이 재발될 수 있다. 이 호르몬은 또한 골다공증이나 심장질환의 위험성을 줄여 주지만 유방암 발병과 관련될 수 있다고 하여 6개월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유방암 검사를 권장한다.


2. 약물치료

폐경기에 또 다른 문제가 되는 골다공증은 여러 검사로 쉽게 알 수 있다. 골다공증 여부를 확인하여 골다공증 약을 복용한다. 아울러 많은 칼슘을 섭취하도록 식단을 조절한다. 칼슘제를 복용하고 적당한 운동을 하면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

위축성 질염, 위축성 요도염 등이나 성교통 등에는 경구용 호르몬 대체 요법보다는 난포 호르몬 질정이나 난포 호르몬 연고가 더 나은 효과를 보인다.

정신‧심리적 증상으로 오는 우울증, 자신감의 결여, 신경과민, 불면 등은 본인의 노력과 함께 경우에 따라 정신과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 및 해당 약물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최해권 l 상탑성모의원 원장

 

 

                              영어사전홈   

 

                                         Write It Down Make It Hap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