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 문인수 그의 상가엘 다녀왔습니다. 생(生)의 여러 요긴한 동작들이 노구를 떠났으므로, 하지만 정신은 아직 초롱같았으므로 노인께서 참 난감해 하실까봐 "아버지, 쉬, 쉬이, 어이쿠, 어이쿠, 시원허시것다아" 농하듯 어리광 부리듯 그렇게 오줌을 뉘였다고 합니다. 몸 갚아드리듯 그렇게 그가 아버지를 안고 있을 때 노인은 또 얼마나 더 작게, 더 가볍게 몸 움츠리려 애썼을까요. 툭, 툭, 끊기는 오줌발, 그러나 그 길고 긴 뜨신 끈, 아들은 자꾸 안타까이 땅에 붙들어 매려했을 것이고 아버지는 이제 힘겹게 마저 풀고 있었겠지요. 쉬-
해방둥이 문인수(62) 시인은 마흔이 넘어 등단한 늦깎이 시인이다. 하지만 시적 성취는 어느 시인보다 높아 환갑 지나 시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이 시는 정진규 시인의 부친상에 문상을 갔다가 선친에 대한 회고담을 듣고 쓰인 시인데, 바야흐로 문인수 시인의 대표시가 되었다. 문상을 다녀와 순식간에 쓰였을 것이다. 그만큼 이 시는 막힘이 없이 활달하다.
2008.02.26 00:12 정끝별·시인
|
![]() ![]()
|
|
'—…³οο ı ĿØЦЁ УØЧ > ´˝˚³οο ı Łονё 愛誦'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수/이동원[애송시 100편 - 45] (0) | 2008.02.28 |
---|---|
너와집 한 채 / 김명인 (0) | 2008.02.27 |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황지우[애송시 100편-제42편] (0) | 2008.02.25 |
6은 나무 7은 돌고래, 열번째는 전화기/ 박상순 [애송시 100편-제41편] (0) | 2008.02.25 |
박꽃/신대철 [애송시 100편-제40편] (0) | 200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