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천명(1911~1957) 시인은 어릴 때 홍역을 앓아 사경을 헤매다 다시 소생했는데 이 때문에 이름을
'천명(天命)'으로 바꾸었다. 하늘로부터 다시 받은 목숨으로 천수(天壽)를 누리라는 뜻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평생 독신으로 살다 1957년 타계했다. 노천명 시인은 고독의 차가운 차일을 친 시인이었다.
실제로도 고독벽이 있었다. 시 '자화상'에서 자신의 풍모를 "몹시 차 보여서 좀체로 가까이 하기 어려워한다".
라고 썼고, "꼭 다문 입은 괴로움을 내뿜기보다 흔히는 혼자 삼켜버리는 서글픈 버릇이 있다"라고 썼다.
이 시는 한 마리의 사슴을 등장시켜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다.
시인은 사슴의 몸통과 다리를 배제한 채, 자화상을 그리는 화가처럼 사슴의 목 윗부분을 그려낸다.
관(뿔)을 쓴 '높은 족속'으로 스스로를 도도하고도 고고하게 표현하지만, 2연에서는 물리칠 수 없는 마음의
통증을 보여준다. 마음의 통증은 어디에서 연유할까. 노천명은 많은 시편에서 어릴 때의 평온했던 시간으로 귀
소하려는 욕구를 드러낸다. "절편 같은 반달이 싸리문 우에 돋고", "삼밭 울바주엔 호박꽃이 화안한 마을"로 시
인의 마음은 자주 이끌린다. 그 시간들은 화해와 무(無)갈등과 동화적인 세계이다. 그런 세계를 동경하는 화자
와 현실 사이의 괴리가 마음의 결손을 유발한다. 그 괴리의 거리와 슬픔의 크기를 시인은 가냘프고 긴 사슴의
목에 빗대어 말하고 있다.
삶은 고독과 갈등의 경전이다. 우리는 이 세상의 몸을 받을 때부터 고독의 의복을 입고 태어났다.
그러나 우리는 고독의 정면(正面)을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 고독의 시간이라야 우리는 진정으로 우리를 만날
수 있고, 그때 참회와 기도가 생겨나게 되지만. 해서 모든 종교적인 시간은 고독의 시간이지만.
릴케의 표현처럼 "고독은 비와도 같은 것"이며, "(고독은) 서로 미워하는 사람들이 같은 잠자리에서 함께 잠을
이루어야 할 때"처럼 흔하게 찾아오는 것.
너무나 마음 쓸 데가 많아서 도무지 고독할 시간조차 없다고 말하지 말자.
이 시를 애송하는 시간에라도 우리는 우리의 근원적인 고독의 시간을 살자.
나의 자화상을 솔직하게 들여다보자. 고립감이 자기애로 나아가더라도.
설혹 자기애에 빠져 나르키소스처럼 한 송이의 수선화로 피어나더라도.
남빛 치마와 흰 저고리를 즐겨 입었다는 노천명 시인은 한국시사에서 시적 대상을 시적 화자와 겹쳐 놓음으
로써 현대 서정시의 동일성 시학을 선보인 최초의 여성 시인이었다.
2008.01.14 01:04 문태준(조선일보)
'—…³οο ı ĿØЦЁ УØЧ > ´˝˚³οο ı Łονё 愛誦'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설주의보/최승호 (0) | 2008.01.15 |
---|---|
사랑하는 사람이 미워지는 밤에는/도종환 (0) | 2008.01.15 |
한 잎의 여자/오규원 (0) | 2008.01.14 |
즐거운 편지/ 황동규 (0) | 2008.01.12 |
묵화(墨畵)/ 김종삼 (0) | 200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