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12-06-12 03:00:00 기사수정 2012-06-12 03:00:00
돈의 노예가 되면 평화 없어…삶의 창조성 지켜내야
정규직의 공통점은 빚이 많다. 변호사, 의사 등 소위 ‘사’자 직업을 가진 이들의 공통점은 빚이 ‘아주’ 많다. 잘 나가는 스타들의 공통점은 빚이 ‘억수로’ 많다 보기엔 참 그럴 듯한데, 실상을 보면 정작 백수들보다도 더 불안하다. 어쩌다가 이 지경이 됐을까
첫째, 다다익선의 함정에 빠진 탓이다. 다다익선은 병법에서나 통하는 전략이다. 그것도 가끔. 삶의 차원에선 ‘택도 없는’ 소리다. 우주의 이치는 기본적으로 태과(太過)는 불급(不及)만 못하다. 둘째, 돈에 대한 철학의 부재 탓이다. 쉽게 말해 돈을 그저 수단으로만 간주하는 것이다. 자본주의가 무엇인가 자본이 물질이자 이념이며 원리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자본은 매개자가 아니라 초월자다. 모든 존재와 삶 위에 군림하는 초월자. 따라서 아무 개념 없이 거기에 포섭되면 결국은 돈의 노예가 될 수밖에 없다. 노예에겐 평화가 없다. 하여 많이 벌면 벌수록 결핍과 불안의 양 또한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래서인가. 정규직이건 ‘사’자 직업이건 직장에 대해 존중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오직 관심은 연봉과 보너스, 연금 등 그것이 주는 대가뿐이다. 그러다 보니 직장에서는 사람들과의 교감 자체를 포기한 것처럼 보인다. 직장인들이 하는 뒷담화의 대부분은 상사와 동료에 관한 것이다. 상사는 거의 다 ‘변태’고 동료는 거의 다 ‘또라이’다. 그렇다면 그렇게 말하는 사람도 누군가에겐 ‘변태’고 ‘또라이’일 것이다. 그래서 직장은 늘 삭막하고 황폐하다. 직장 내 관계라면 흔히 노사 문제만을 염두에 둔다. 물론 그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소외로부터의 자유’다. 일을 열심히 했는데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면 누구든 억압을 느낀다. 반대로 권리는 쟁취했는데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의 교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혹은 그 일 자체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건 실존적 차원의 소외다. 이건 교환과 권리의 차원에선 절대 해소되지 않는다.
그러면 또 말할 것이다. ‘사회 풍토가 문제야’라고. 참 식상한 이야기다. 국민이 원한다면 뭐든 하겠노라는 정치가의 말도 공허하기 짝이 없지만, 늘 사회 탓만 하면서 꼼짝도 않는 대중의 습속 또한 허무하긴 마찬가지다. 사회 풍토가 바뀔 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릴 참인가. 자신의 삶을 사랑한다면 지금 당장 일터를 공동체적 관계로 바꾸라. 공동체는 특별한 곳이 아니다. 저 오지나 산자락에 있는 것도 아니다. 교환의 ‘썰렁함’에서 벗어나 교감의 ‘능동성’이 살아있는 곳, 또는 돈이 삶 위에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돈이 삶의 창조성에 복무하는 곳이 바로 공동체다. 그것이 ‘돈의 "달인"’이자 ‘호모 코뮤니타스(Homo Communitas)’가 되는 길이기도 하다.
“화폐는 탄생 이래 늘 공동체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화폐가 공동체적 삶의 다양성을 먹어치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19세기 사회학자들은 ‘코뮤니타스’를 특별히 ‘화폐에 대항하는 공동체’라고 명명하였다. 화폐의 식성에 맞서 삶의 창조성을 지켜내고자 한 것이다.”(‘화폐, 마법의 사중주’) 여기가 바로 ‘호모 코뮤니타스’가 탄생하는 지점이다. 보다시피 화폐와 공동체, 둘의 마주침에는 늘 긴장과 스릴이 감돈다. 그 긴장과 스릴을 기꺼이 감내해야 할 때다. 정규직이든 백수든.
고미숙 고전평론가
'´˝˚³οο와플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스로 낙인을 찍지말라 (0) | 2012.07.26 |
---|---|
‘여백의 시간’ (0) | 2012.07.19 |
‘열린 자세’를 가져라 (0) | 2012.06.05 |
“앎이 곧 즐거움”… 대중이 ‘지성의 향연’에 참여하는 것 (0) | 2012.04.13 |
오늘의 명언 (0) | 2011.12.08 |